![]() |
통신 3사가 '탈(脫)통신' 이후의 미래 먹거리로 인공지능 데이터센터(AI DC)를 낙점하고 본격적인 사업 확장에 나섰다. 기존 음성·데이터 중심의 통신 사업에서 벗어나, 고부가가치 B2B 디지털 인프라 사업으로의 전환을 가속화하는 행보다.
AI DC는 인공지능 학습과 추론에 최적화된 고성능 GPU 서버, 초고속 네트워크, 대용량 저장장치 등을 통합한 특화형 데이터센터다. 기존 IDC(인터넷 데이터센터)가 웹서비스 및 클라우드 서비스 등 범용 인프라를 제공하는 시설이었다면, AI DC는 AI 전용 워크로드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데 최적화돼 있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AI DC가 글로벌 시장에서도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부상하며 관련 투자와 사업 추진이 속도를 내고 있다. 통신 3사는 강력한 네트워크 기술력과 인프라 운영 경험을 토대로 IDC에 이어 AI DC 시장 주도권 확보에 나선다는 전략이다.
시장조사기관 포츈 비즈니스 인사이트에 따르면 전 세계 AI DC 시장 규모는 2025년 177억3000만 달러에서 2032년 936억 달러로 확대될 전망이며, 이 기간 연평균 성장률(CAGR)은 26.8%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
업계에서는 AI DC 시장의 승패를 가를 핵심 변수로 ▲고성능 GPU 서버를 안정적으로 가동할 수 있는 전력 인프라 확보력 ▲AI 워크로드에 맞춘 기술 최적화 역량 ▲초거대 AI 수요를 가진 기업을 조기에 선점하는 고객 유치 속도를 꼽고 있다.
결국, 전력·기술·고객이라는 '삼각 축'을 얼마나 빠르게 완성하느냐가 이 시장의 승자를 결정할 관건이란 분석이다.
SK그룹은 지난 20일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울산시, 아마존웹서비스(AWS)와 협약을 맺고, 국내 최대 규모의 하이퍼스케일 AI DC를 울산에 건립하겠다고 밝혔다. 총 7조원이 투입되는 이번 프로젝트는 2027년부터 본격적인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며, 약 7만8000명의 고용 창출 효과도 기대된다.
SK텔레콤과 SK브로드밴드는 데이터센터 구축 및 운영을 총괄하며, SK하이닉스는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AI 반도체 기술을 제공한다. SK가스와 SK멀티유틸리티 등 에너지 계열사도 전력 인프라 구축에 참여한다. SK 관계자는 "그룹 각 계열사의 전문 역량을 결집해 AI DC 사업에서도 최적의 시너지를 발휘할 것"이라고 말했다.
KT는 올해 하반기 AI 데이터센터 2곳을 새로 개소할 예정이다. 2022년 9월 착공한 경북형 클라우드 데이터센터는 내달 준공을 앞두고 있으며, 같은 해 7월 공사에 들어간 가산 데이터센터도 올해 중 완공돼 수도권 수요 분산을 담당하게 된다. 이로써 KT클라우드가 운영하는 데이터센터는 총 16곳으로 늘어난다.
KT는 이미 청주와 대덕에 위치한 AI 클라우드센터에 수천 장 규모의 엔비디아·AMD GPU를 구축해 고성능 AI 인프라 기반을 마련했다. 지난해 8월에는 경기도 고양시에 백석 AI DC를 개관했다. 이 센터는 수도권 주요 거점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원 DC' 구조를 구현했으며, 글로벌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자(CSP)와의 전용 회선 연결도 지원하고 있다. KT는 백석 AI DC를 통해 수도권 AI 수요에 대한 대응력을 크게 끌어올렸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LG유플러스는 경기도 파주에 하이퍼스케일급 AI 데이터센터를 건립 중이다. 2027년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총 부지 면적은 약 7만3712㎡(축구장 9개 규모)에 달한다. 지하 1층~지상 5층 규모로 설계된 이 시설은 서버 10만 대 이상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전력 용량은 정확히 공개되지 않았지만, 기존 평촌 메가센터(165㎿)를 감안할 때 최소 100㎿ 이상이 확보될 것으로 관측된다. LG유플러스는 향후 AI 수요 확장에 대비해 단계적 확장 가능성을 열어둔 설계를 적용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