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다친 건 아니다. 퓨처스리그(2군)에서 꾸준히 뛰고 있다. 박지환은 2군에 내려간 뒤 퓨처스리그 26경기에 나가 타율 0.309, 1홈런, 11타점, 4도루, OPS(출루율+장타율) 0.826을 기록 중이다. 상대적으로 타고 성향이 도드라지는 퓨처스리그에서 아주 눈에 띄는 성적은 아니지만, 팀의 기대치와 팀 내야의 펑크 상황을 생각하면 한 번쯤 콜업을 고려할 만 했다. 하지만 SSG는 박지환 대신 다른 선수를 선택하곤 했다.
이유가 있다. 박지환을 1군 전력과 구상에서 배제한 건 결코 아니다. 오히려 더 절실하게 완성을 기다리고 있다. 박지환을 내려 보내면서 조금 더 멀리 내다보기로 했고 인내하며 그 초심을 붙잡고 있다. 이숭용 SSG 감독이 2군행 당시 직접 박지환과 면담을 했다. 선수의 의견을 들으면서 앞으로의 활용 방안에 대한 허심탄회한 대화를 했다. 선수와 면담, 내부 논의 끝에 당장보다는 후반기와 그 이후를 바라보고 육성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로 했다.
올 시즌을 앞두고 SSG는 박지환을 풀타임 선수로 활용하겠다는 구상을 세웠다. 3루에 최정, 유격수에 박성한이 있으니 일단은 이 포지션의 백업 선수로 활용하고 우익수로도 세워 최대한 출전 시간을 채워주겠다는 구상이었다. 그래서 지난해 마무리캠프부터 외야 수비 훈련도 병행했다. 이렇게 여러 포지션을 두루 보게 하면 꼭 주전이 아니더라도 많은 출전 시간을 줄 수 있다는 계산이었다. 박지환도 구단의 생각에 고마워하며 의지를 드러냈다.
![]() |
보고는 계속 들어가고 있다. 이 감독은 5월 말 당시 “박지환의 몸이 많이 좋아졌다고 하더라”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사실 먹어도 살이 안 찌는 체질이라 남들보다 벌크업이 쉽지 않은 유형인데 앞으로 계속 힘이 붙을 수 있다는 기대감이 있다. 퓨처스팀으로부터 보고도 매번 받는다. 김재현 SSG 단장 또한 박지환에 각별한 공을 들이고 있다. 보고도 받는 것도 모자라 직접 찾아가 면담도 한다.
김 단장은 22일 “(데이터적인) 수치도 좋아지고, 몸도 좋아졌다. 멘탈도 많이 회복됐다”고 했다. 박지환은 올해 최정의 부상 때문에 생각보다 3루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냈는데 이 시기에 실책이 많이 나오며 심리적으로 힘든 시간을 보냈다. 선수 스스로 외야 수비에 조금 더 의중을 두기 시작한 것도 이 때문이다. 그러나 지금은 그 악몽이 어느 정도 잊힌 상황이다. 웨이트트레이닝 등 몸 만들기에 주력하면서 경기도 나가며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쫓고 있다. 심리적으로 힘든 시기지만 의욕을 가지고 한다는 게 관계자들의 이야기다.
김 단장은 “3루에서 갑자기 많이 뛰게 된 것은 문제가 아니었다. 하지만 실책이 자주 나오고, 방망이도 안 맞으면서 비판도 받으니 힘들어 한 부분이 있었다. 아직 어린 선수라 감정 기복은 있다. 스스로 이겨내야 하는 부분이다. 계속 지켜보고 있고 면담도 하고 있다”고 믿음을 드러냈다.
![]() |
다만 나름의 기준점에 도달하면 어느 시점에서는 1군에 올라와 테스트를 거칠 가능성이 있다. 이 감독도 몸이 좋아지면서 올해 리그 최고 타자 중 하나로 활약하고 있는 안현민(KT)의 예를 들며 “그렇게 하려고 지금 프로젝트를 하며 놔두고 있는 것이다. 본 사람들은 몸이 많이 좋아졌다고 하더라. 지금 경기를 하고 연습만 하는 게 아니라 시간을 따로 내서 먹는 것부터, 웨이트트레이닝부터 하고 있다. 경기도 계속 뛰는 게 아니라 세이브를 해서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라며 달라진 모습으로 1군에 올 박지환의 모습을 고대했다. 미래 10년을 준비할 양식을 쌓을 수 있다면, 길게 봤을 때는 지금 2~3달은 그렇게 긴 시간이 아닐 수 있다.
![]() |
<저작권자 ⓒ SPOTV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