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뉴시스 언론사 이미지

"이란, 호르무즈 봉쇄하면 해군 전멸할 수도…득보다 실" WSJ

뉴시스 김난영
원문보기

"이란, 호르무즈 봉쇄하면 해군 전멸할 수도…득보다 실" WSJ

속보
헌재, 손준성 탄핵심판 17일 오후 2시 선고
"美, 중동에 충분한 해군자원 보유…짧은 시간에 위협 제거"
루비오 "해협 봉쇄하면 中포함 세계가 맞서…자살 행위"
[호르무즈 해협=AP/뉴시스]2023년 5월 호르무즈 해협에서 항해 중인 대형 컨테이너선과 선박. 사진은 기사 본문과 관계 없음. 2025.06.23.

[호르무즈 해협=AP/뉴시스]2023년 5월 호르무즈 해협에서 항해 중인 대형 컨테이너선과 선박. 사진은 기사 본문과 관계 없음. 2025.06.23.



[서울=뉴시스] 김난영 기자 = 이란이 미국의 핵시설 직접 타격 대응으로 호르무즈해협을 봉쇄할 경우 득보다 실이 더 크리라는 경고가 나왔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2일(현지 시간) '이란의 호르무즈해협 도박' 제하 사설을 통해 실제 봉쇄가 이뤄질 경우 "유가 급등을 초래할 수 있지만, 자국에 해가 더 클 것"이라고 경고했다.

WSJ은 호르무즈해협 봉쇄로 이란이 단기적으로는 외부에 타격을 줄 수 있다고 봤다. 특히 해협의 길이가 짧고 폭도 좁아 지나는 선박이 기뢰에 취약하다고 했다. 봉쇄가 용이한 것이다.

매체는 "이란은 자국 해군 전력으로 (호르무즈해협을 지나는) 선박을 공격할 수 있다"라며 이란이 보유한 고속정 등을 꼽았다. 이란산 무인기(드론), 미사일 공격 발사 가능성도 거론했다.

다만 "미국이 역내에 충분한 해군 자원을 보유했다"라는 게 WSJ의 지적이다. 이란이 호르무즈해협 봉쇄에 나서더라도 짧은 시간 안에 이란의 기뢰를 비롯한 위협 제거에 나설 수 있다는 지적이다.

WSJ은 "이란은 해협을 봉쇄한다면 자국 해군 전력 전체를 잃을 수 있다는 전망을 생각해 봐야 한다"라고 했다.


실제 프랭크 매켄지 전 미군 중부사령부 사령관은 이날 CBS '페이스 더 네이션' 인터뷰에서 해협이 봉쇄되면 "세계 상업에 일정 기간 타격을 줄 것"이라면서도 "결국 상황은 정리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필요할 경우 우리에게는 매우 좋은 계획이 있다"라며 "언제나 이 계획에 관해 작업한다"라고 했다. 이어 "(해협을 봉쇄하면) 이란 해군은 (미국의) 작전 끝에 모두 침몰할 것"이라고 공언했다.

한편 이란이 실제 호르무즈 해협 봉쇄에 나서면 가장 큰 피해국으로는 중국이 꼽힌다. 미국 셰일업체 등의 참여로 원유 공급망이 이전보다 다변화된 상황에서 중국의 호르무즈해협 의존도가 높다는 것이다.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은 이와 관련해 역시 '페이스 더 네이션' 인터뷰에서 "(해협이 봉쇄되면) 가장 먼저 화를 낼 곳은 중국 정부"라며 "그들은 (호르무즈해협을 통해) 많은 원유를 받는다"라고 말했다.

다만 "모든 다른 국가도 큰 대가를 치를 것"이라고 했다. 이어 이란의 호르무즈해협 봉쇄가 "자살행위가 될 것"이라며 "(해협을 봉쇄하면) 모든 국가가 그들에게 맞설 것이기 때문"이라고 경고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imzero@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