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외관만 보면 전혀 상상이 되지 않지만 대나무는 나무가 아닌, 벼과 식물이다. 판다는 마치 흰쌀밥을 먹듯 대나무를 먹어치우지만 인간이 대나무를 먹을 수는 없는 노릇. 그래도 대나무의 연한 싹, 죽순은 인간도 먹을 수 있고 몸에도 좋다.
보통 중식당에서 내놓는 짬뽕이나 볶음 요리에서 죽순을 흔하게 접할 수 있다. 그만큼 죽순에 대한 중국의 사랑은 특별하다. 조선 시대 문헌에 죽순밥을 비롯한 죽순 요리법이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우리 선조들 역시 죽순을 익히 즐겼던 것으로 보인다. 『본초강목』에서는 죽순에 대해 달고 독이 없으며, 가래와 담을 제거하고 소화를 촉진한다고 전한다.
죽순에는 찬 성질이 있다. 현대인들은 고질병인 스트레스로 인해 화가 쌓여 머리와 몸에서 열이 과하게 나고, 잠을 잘 못 이루는 경우가 많은데 죽순이 도움을 줄 수 있다. 다만 평소 몸이 차거나 장이 허약하고 예민한 편이라면 너무 많이 섭취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영양소 면에서는 풍부한 식이섬유와 식물성 식재료임에도 제법 많은 단백질 함량이 돋보인다. 반면 칼로리는 낮아 체중관리가 필요한 이들이라면 꼭 관심을 기울일 만하다. 필수 미네랄 중에서는 칼륨 함량이 특히 높다. 평소 음식을 짜게 먹는 편이라면 나트륨 배출을 돕는 죽순을 자주 접하는 게 좋다. 비타민 중에서는 비타민 B2, 비타민 C, 엽산의 함량이 높은 편이다.
죽순은 샐러드 등으로 가볍게 먹기에 좋은데 4월에서 6월 초여름까지가 제철인 만큼 지금 죽순을 즐겨 보는 건 어떨까.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