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7 이어 나토 정상회의 계기 회담도 무산…美는 '안보 압박' 강화
![]() |
이재명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News1 김초희 디자이너 |
(서울=뉴스1) 정윤영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 불참 결정으로 한미 정상회담이 다시 순연됐다.
한미는 지난주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 첫 정상회담을 추진했으나 중동 사태 악화에 따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조기 귀국으로 이뤄지지 못했다.
이번에는 이 대통령이 나토 정상회의 불참을 결정하면서 한미 정상의 첫 만남이 연기되는 모양새가 됐다. 대통령실은 "여러 가지 국내 현안과 중동 정세로 인한 불확실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이번 나토 정상회의에는 대통령이 참석하지 않기로 했다"라고 밝혔다.
다만 불참의 이유가 이날 중동 사태에 군사적 개입을 단행한 트럼프 대통령이 나토 회의에 불참하기로 결정했기 때문인지, 트럼프 대통령이 회의에 참석함에도 불구하고 대통령실이 '나름의 판단'에 따라 이 대통령의 불참을 결정한 것인지 정확하게 확인되진 않았다.
한미 정상은 이 대통령의 취임 후 첫 통화에서 '골프 회동'을 약속하는 등 좋은 분위기에서 소통을 시작했다. 여기에 빠른 정상 간 대면으로 한미동맹의 추동력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됐으나, 두 정상의 만남이 연이어 순연되면서 한미 간 소통이 적절하게 이뤄지고 있는지에 대한 우려도 제기된다.
일각에선 트럼프 대통령이 중동 사태에 집중하면서 한국에 대한 미국의 관세 및 안보 압박이 약해질 수도 있다고 봤으나, 미국은 최근 아시아 동맹국들에게 국방비를 국내총생산(GDP)의 5%로 인상하라고 요구하는 등 압박의 강도를 더 높이고 있다.
그 때문에 정상 간 직접 소통을 통해 관세 및 안보 청구서의 구체적인 내용, 기조 등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었다.
만일 트럼프 대통령의 나토 정상회의 참석에도 불구하고 한미 정상회담이 순연됐다면, 미국이 한국을 위한 시간을 충분히 내지 않은 데 따른 것이라는 해석이 가능해진다. 한국의 입장에선 소통의 적기를 놓치게 되는 상황일 수도 있다는 뜻이다.
다만 격화된 중동 사태에 군사적 개입을 단행한 미국이 우리 측에 재차 양해를 구했을 가능성도 있다. 미국의 이란 폭격 후 이란은 즉각 미국에 대한 보복을 공언하는 등 미국의 상황도 결코 여유롭진 않은 것이 사실이다.
![]()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2025.06.21 ⓒ 로이터=뉴스1 ⓒ News1 류정민 특파원 |
한편으론 국제 분쟁에 군사적 개입을 결정한 미국이 이번 나토 정상회의 참가국을 상대로 국방비를 인상하라는 고강도 압박을 가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이 대통령이 참석해도 '실익'은 적었을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박원곤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는 "나토 32개국과 인도·태평양(IP·호주, 뉴질랜드, 일본) 3개국까지 포함해 정상급이 몰리는 회의에서 한미 간 긴밀한 협의는 어렵다"라며 "트럼프 대통령이 나토를 비판적으로 보고 있기 때문에 회의 분위기 자체도 좋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 교수는 이어 "특히 이번 나토 회의에선 미국의 이란 핵 시설 공격으로 확산된 핵 문제, 더 나아가 북핵 이슈까지 언급될 가능성이 높았다"라며 "이 대통령 입장에선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지도 못한 채 핵 확산에 대해 미국의 입장에 동조하는 듯한 모습으로 비칠 수 있는 상황이 부담스러웠을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yoonge@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