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4년 노후 준비 실태조사 보고서
[이데일리 송승현 기자] 한국 30~60대 국민의 노후준비 수준이 100점 만점에 69.9점으로 집계됐다. 가족 구성원이 적을수록, 최종 학력 수준이 낮을수록, 거주지가 비수도권일수록 노후 준비 점수가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22일 보건복지부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 의뢰한 ‘2024년 노후 준비 실태조사 및 진단 지표 세분화 방안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국민의 노후준비 수준은 69.9점으로 직전조사(2019년) 대비 2.4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무 점수는 67.6점으로 직전 조사(60.3점) 대비 7.3점 증가했다. 다만 혼인상태·지역·학력별 격차는 여전했다. 배우자 있는 경우에는 70.3점으로 기록된 반면, 무배우자는 65.9점으로 나타났다. 거주지가 대도시인 경우에는 72.4점, 중소도시인 경우는 66점, 농어촌인 경우에는 61.9점으로 지역 간 격차가 뚜렸했다. 학력에 따라서도 노후준비 점수가 차이가 났다. 대졸은 72.5점, 전문대졸은 69.9점, 고졸은 62.6점이었다. 남성은 69.2점, 여성은 65.9점이었다.
![]() |
(사진=챗GPT 생성 이미지) |
22일 보건복지부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 의뢰한 ‘2024년 노후 준비 실태조사 및 진단 지표 세분화 방안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국민의 노후준비 수준은 69.9점으로 직전조사(2019년) 대비 2.4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무 점수는 67.6점으로 직전 조사(60.3점) 대비 7.3점 증가했다. 다만 혼인상태·지역·학력별 격차는 여전했다. 배우자 있는 경우에는 70.3점으로 기록된 반면, 무배우자는 65.9점으로 나타났다. 거주지가 대도시인 경우에는 72.4점, 중소도시인 경우는 66점, 농어촌인 경우에는 61.9점으로 지역 간 격차가 뚜렸했다. 학력에 따라서도 노후준비 점수가 차이가 났다. 대졸은 72.5점, 전문대졸은 69.9점, 고졸은 62.6점이었다. 남성은 69.2점, 여성은 65.9점이었다.
노후준비를 위한 또다른 요인 중 하나인 대인관계에서는 직전 조사보다 점수가 하락했다. 대인관계는 64.9점으로 2019년(67.3)과 비교해 2.4점 하락한 것이다. 대인관계 점수는 마음을 털어놓을 수 있는 가족·친구·이웃 등이 있는지, 참석하는 모임이 몇 개인지 등의 문항으로 측정됐다.
대인관계 영역에서 응답군별로 점수 차는 크지 않았으나, 농림어업 종사자의 하락폭이 가장 큰 것으로 확인됐다. 농림어업 종사자의 대인관계 점수는 2019년 67.7점에서 2024년 62점으로 5.7점 떨어졌다. 유일하게 상승한 응답군은 무배우자로, 대인관계 점수가 60.9점에서 61.9점으로 1점 올랐다. 하지만 여전히 유배우자(65.7점)보다는 낮았다.
응답자들은 자신의 노후 준비 수준을 10점 만점에 평균 5.28점으로 평가했다. 은퇴 이후 필요한 생활비 수준으로는 평균 약 300만원이라고 답했으며, 응답자의 75.5%는 국민연금에 가입했거나 연급을 수급하고 있었다. 이들의 월평균 연금수령금액은 약 98만원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국민의 노후준비를 돕기 위해 2016년부터 공공 차원의 노후준비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들어본 적 있다’고 답한 응답자는 3%에 불과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이 보고서를 통해 “노후준비서비스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보다 적극적인 제도 홍보가 필요하다”면서 “추후 노후 준비 실태 파악과 정책 마련을 위해 재무·대인관계 분야에 대한 세부 지표 마련이 필요하다”고 재언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