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연합뉴스TV 언론사 이미지

"핵 농축 고수" vs "장기전 준비"…외교 해법 '여지'

연합뉴스TV 윤석이
원문보기

"핵 농축 고수" vs "장기전 준비"…외교 해법 '여지'

속보
대통령실 "이 대통령, 검·경 이태원사건조사단 편성 약속"
[앵커]

이스라엘의 이란 공습 이후 처음으로 유럽 주요국과 이란이 핵협상 테이블에 앉았지만 돌파구를 찾지는 못했습니다.

이란은 미국의 압박에도 핵농축을 고수했고, 이스라엘은 "장기전을 준비하고 있다"고 위협했습니다.

윤석이 기자입니다.

[기자]

독일과 프랑스, 영국 등 유럽 주요 3개국과 이란 외교 당국자들이 현지시간으로 20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만났습니다.


이스라엘의 이란 공습 이후 처음으로 열린 핵협상이어서 관심을 모았지만 돌파구 마련에는 실패했습니다.

<데이비드 래미 / 영국 외무장관> "이란에 미국과 대화를 계속할 것을 촉구합니다. 아주 위험한 시점입니다."

이에 대해 이란은 "이스라엘의 공격이 지속되는 한 미국 등 어느 쪽과도 협상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압바스 아락치 / 이란 외무장관> "우리는 정당한 자위권을 행사하고 있으며, 어떠한 상황에서도 방어를 멈추지 않을 것입니다. 범죄의 공범인 미국과는 논의할 게 없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이란이 최근 협상에서 우라늄 농축을 민간 용도인 3.67% 이하로 제한할 용의가 있다는 입장을 전달했다"고 보도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핵개발 전면 포기를 압박하고 있지만 여전히 '핵농축' 입장을 고수한 겁니다.


이스라엘 역시 장기전도 불사하겠다며 압박의 수위를 높였습니다.

<에얄 자미르 / 이스라엘군 참모총장> "거대한 위협과 강력한 적을 제거하기 위한 작전에 착수했습니다. 장기전을 준비해야 합니다."

다만 미국은 이란 공격에 직접 가담할 경우 자칫 '아프간 전쟁'과 같은 수렁에 빠질 수 있어 참전 여부를 결정하지 않고 있습니다.

사우디 등 주변 아랍국도 미국의 군사 개입을 만류하며 중재에 나서고 있어 외교적 해법에 대한 기대도 남아있다는 분석입니다.

연합뉴스TV 윤석이입니다. seokyee@yna.co.kr

#이란_이스라엘 #미국 #핵농축 #장기전 #핵협상

[뉴스리뷰]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윤석이(seokye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