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성 음료가 코팅 부식시켜 독성 물질 유출
중금속 중독…"녹 발생 시 즉시 폐기해야"
중금속 중독…"녹 발생 시 즉시 폐기해야"
대만에서 한 남성이 10년 넘게 동일한 텀블러를 사용하다가 중금속에 장기간 노출돼 사망했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21일(현지시간) 홍콩 ATV뉴스 등은 대만 남성 A씨가 오랫동안 세척하지 않은 금속 보온병을 사용한 뒤 중금속 중독 진단을 받았으며, 1년 뒤 폐렴 합병증으로 숨졌다고 전했다.
A씨는 철제 텀블러에 산성 음료를 자주 담아 마셔왔다. 시간이 흐르며 텀블러 내부에 부식이 발생했지만, 그는 이를 인지하지 못한 채 계속해서 같은 용기를 사용했다.
21일(현지시간) 홍콩 ATV뉴스 등은 대만 남성 A씨가 오랫동안 세척하지 않은 금속 보온병을 사용한 뒤 중금속 중독 진단을 받았으며, 1년 뒤 폐렴 합병증으로 숨졌다고 전했다.
![]() |
10년 넘게 동일한 텀블러를 사용하다가 중금속에 장기간 노출돼 사망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게티이미지 |
A씨는 철제 텀블러에 산성 음료를 자주 담아 마셔왔다. 시간이 흐르며 텀블러 내부에 부식이 발생했지만, 그는 이를 인지하지 못한 채 계속해서 같은 용기를 사용했다.
어느 날 몸 상태에 이상을 느낀 그는 병원을 찾았고, 검사 결과 혈액 내 헤모글로빈 수치가 비정상적으로 낮고 신장 기능도 손상돼 있다는 진단을 받았다. 의료진은 그의 상태를 중금속 중독으로 판단했다.
![]() |
전문가들은 철제 보온병이라도 산성 음료를 장기간 담아둘 경우 금속과 화학 반응을 일으켜 코팅이 손상되고, 이로 인해 독성 물질이 소량씩 용출될 수 있다고 경고한다. 게티이미지 |
전문가들은 철제 보온병이라도 산성 음료를 장기간 담아둘 경우 금속과 화학 반응을 일으켜 코팅이 손상되고, 이로 인해 독성 물질이 소량씩 용출될 수 있다고 경고한다. 이 물질들이 체내에 축적되면 간과 신장을 비롯해 면역 체계 및 신경계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전문가들 "보온용기 세척·교체 주기 지켜야"
식품 안전 전문가들은 텀블러 내부를 정기적으로 세척하고, 사용 후에는 반드시 건조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특히 음료를 장시간 보관하거나 실온에 방치할 경우 박테리아가 급속도로 증식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실제로 싱가포르에서 진행된 한 실험에서는 아침에 담은 물의 박테리아 수치가 24시간 동안 최대 2500%까지 늘어났다.
위생을 위해서는 텀블러를 사용할 때마다 안팎을 꼼꼼히 닦고, 뚜껑이나 고무 패킹 부위도 세심하게 관리해야 한다. 연마제가 묻어 있을 수 있는 새 제품은 처음 사용할 때 식용유로 내부를 닦아낸 뒤 세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식초나 베이킹소다를 활용한 정기적인 세척도 권장된다. 내부에 녹이 발생하거나 악취가 나기 시작하면 바로 교체하는 것이 안전하며, 1년 이상 사용한 보온병은 건강을 위해 새 제품으로 바꾸는 것이 좋다는 의견도 있다.
김은하 기자 galaxy65657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