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게 막대한 데이터센터를 돌리고 AI산업을 유지하려면 안정적인 전력공급이 필수입니다. 그런데 이재명 정부의 첫 추경을 보니 신재생에너지에는 1100억 원을 투자한 반면 원전 관련 예산은 하나도 없었습니다.
앞으로도 그럴건지, 유혜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국무회의에서 확정된 올해 산업부 2차 추가경정예산안입니다.
신재생에너지와 관련해 금융지원 1000억 원 등 총 1128억 원이 추가로 편성됐지만, 원전 관련 예산은 이번 추경에서 전혀 증액되지 않았습니다.
추경 편성으로 올해 재생에너지 전체 예산은 5990억 원으로 늘어나, 원전 예산보다 1000억 원 이상 커졌습니다.
이번 예산안은 기존 원전을 활용하되 재생에너지 중심으로 전환하는 현정부 정책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후보 시절부터 원전 확대에 신중한 입장을 보였습니다.
이재명 대통령 / 전북 재생에너지 현장 간담회(지난 4월)
"(원전은) 위험성이라고 하는 게 동시에 병존하기 때문에 어느 한쪽을 일방적으로 선택하는 건 어려울 것 같습니다."
업계에서는 원전에 대한 추가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합니다.
AI 시대에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필수인 데다, 급성장 중인 세계 원전 시장에서 추가 수주를 이어가려면 꾸준한 연구 개발을 통한 기술 경쟁력 확보가 절실합니다.
정범진 / 경희대 원자력공학과 교수
"수출 가능성이 높은 산업이기 때문에 외화를 획득하는 차원에서 중요한 산업이라고 보고 앞으로 지원을 더 강조해야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우리나라가 SMR 등 미래형 원전 개발에서 뒤처진 것도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기간 투자에 소홀했던 탓이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TV조선 유혜림입니다.
유혜림 기자(cham@chosun.com)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뉴스제보 : 이메일(tvchosun@chosun.com), 카카오톡(tv조선제보), 전화(1661-0190)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