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대야소 구도에 4선 의원 출신의 초대 국무총리 후보자여서 다소 느슨한 청문회가 될 거란 전망도 있었습니다만, 예상 외로 강대강 검증정국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통상 여당이 후보자를 감싸는 건 당연하지만, 이번엔 그 양상이 좀 다르다는데, 뉴스더 코너에서 이태희 기자와 더 짚어보겠습니다. 이 기자, 민주당은 청문회가 지나치게 인신공격성으로 흘러가선 안된다고 주장하고 있는데, 공수가 반대였던 지난 정부 땐 분위기가 좀 달랐죠.
[기자]
윤석열 정부 내각 구성 당시 민주당의 검증 칼날, 상당히 날카로웠습니다. 노무현 정부 출신 인사였던 한덕수 총리 인선을 꺼내들었지만 예외가 아니었는데요. 당시 민주당은 "자료제출이 불성실하다", "허술한 검증에 들러리 설 수 없다"며 청문회 자체를 보이콧 하기도 했습니다.
강병원 / 당시더불어민주당 의원 (22년 4월)
"자료를 부실하게 제출하는데 청문회를 열란 말입니까? 여기 와 가지고 없다 없다 얘기합니까? 개인정보 제공만 해주면 다 나올 수 있는 겁니다."
전주혜 / 당시 국민의힘 의원 (22년 4월)
"겨울에 산딸기를 구해오라는 것처럼 답변 불가한 자료 제출 요구도 많습니다"
[앵커]
정권이 바뀔 때마다 마치 역할극을 하듯 여야가 검증과 방어를 반복한단 느낌도 드는데 청문회법을 개정하는 문제도 계속 입장이 바뀌고 있는 것 아닙니까?
[기자]
맞습니다. 민주당이 추진중인 개정안은 청문 대상자의 자질과 도덕성을 분리해서 검증하고, 특히 도덕성 부분은 비공개로 하겠단 내용입니다. 이걸 문재인 정부 당시에도 추진한 적 있는데, 문 전 대통령이 "청문회 때문에 좋은 인재를 데려오기 어렵다"고 토로하자, 내놓은 해법이었습니다. 하지만 20대 대선에서 국민의힘에 정권을 넘겨준 뒤엔 돌연 법안 추진을 중단하겠다고 선언했고, 이재명 정부 시작과 함께 또 다시 법안을 꺼내든 겁니다. 국민의힘의 경우 2014년 박근혜정부 시절 새누리당이 청문제도 개혁 TF를 꾸려 비슷한 주장을 한 적이 있습니다. 도덕성보단 능력 검증이 우선이란 건데, 국정을 책임질 총리의 도덕성 문제를 결코 가볍게 넘길 수는 없단 반론도 만만치 않습니다.
[앵커]
그런데 김민석 후보자 논란에 대한 민주당 대응을 보면 초기엔 좀 잠잠하다 최근 들어 전방위적인 반격에 나서는 모습이에요.
[기자]
정권 초 부실 검증 문제에 여론이 집중될 경우 국정 주도권에 영향을 줄 수 있단 우려를 하는 걸로 보입니다. 특히 문재인 정부 당시 이른바 '조국 사태'를 겪은 뒤 민주당의 이런 위기의식이 더 강해진 듯 한데요. 민정수석 조기 낙마에 이어 총리 후보자도 논란이 계속될 경우 자칫 정부 조각까지 차질을 빚을 수 있단 우려도 있는 걸로 전해졌습니다.
[앵커]
방금 리포트로도 봤습니다만 여당 의원들 공격이 주로 국민의힘 주진우 의원에게 집중돼 있던데, 왜 그런 건가요?
[기자]
주 의원이 가장 활발하게 검증에 나서고 있기 때문일 겁니다. 일각에선 검사 출신인 주 의원에 비해 상대적으로 김 후보자의 재산이 적다는 점을 부각하려는 거란 시각도 있습니다. 4선 의원으로 야인 생활이 길었던 점을 감안하면 크게 문제삼을 일이 아니지 않냐는 판단이 담긴 걸로 보이는데, 다만 이에 대해 여론이 어떻게 반응할지는 또 다른 문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국민의힘에선 혼란스런 당 내부 사정으로 검증에 사실상 손을 놓고 있다가 주 의원만 타깃이 된 거란 볼멘소리도 나옵니다.
[앵커]
정권이 바뀌고 공수가 달라졌다고 검증 기준마저 달라져선 안되겠죠. 나흘 뒤 청문회라니 지켜봐야 겠군요. 이 기자 잘 들었습니다.
이태희 기자(golee@chosun.com)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뉴스제보 : 이메일(tvchosun@chosun.com), 카카오톡(tv조선제보), 전화(1661-0190)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