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리포터]
[디지털투데이 AI리포터] 사상 최대 규모의 로그인 정보 유출 사태가 발생했다.
20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포스트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사이버보안 정보매체 사이버뉴스(Cybernews)는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서 클라우드에 노출된 공개 저장소에서 무려 160억 건에 달하는 사용자 로그인 정보가 발견됐다고 밝혔다.
사이버뉴스는 이번에 유출된 정보에 애플, 페이스북, 구글, 텔레그램 등 주요 온라인 서비스의 로그인 계정 정보가 포함돼 있었다며, 대부분 정보탈취 악성코드(인포스틸러)에 의한 것으로 확인된다고 전했다.
![]() |
[디지털투데이 AI리포터] 사상 최대 규모의 로그인 정보 유출 사태가 발생했다.
20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포스트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사이버보안 정보매체 사이버뉴스(Cybernews)는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서 클라우드에 노출된 공개 저장소에서 무려 160억 건에 달하는 사용자 로그인 정보가 발견됐다고 밝혔다.
사이버뉴스는 이번에 유출된 정보에 애플, 페이스북, 구글, 텔레그램 등 주요 온라인 서비스의 로그인 계정 정보가 포함돼 있었다며, 대부분 정보탈취 악성코드(인포스틸러)에 의한 것으로 확인된다고 전했다.
이번 유출은 특정 대기업의 단일 해킹으로 인한 것은 아니며, 약 30개 대규모 데이터셋을 통해 발견됐다. 각 세트에는 수천만건에서 35억건 이상의 기록이 포함됐으며, 특히 가장 큰 데이터세트는 포르투갈어권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로 구성돼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유출이 단순한 데이터 유출이 아니라 대규모 악용의 설계도라고 경고했다. 사이버 범죄자들은 유출된 인증 정보를 활용해 계정 탈취, 신원 도용, 피싱 공격을 감행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멀티팩터 인증을 적용하지 않거나 적절한 비밀번호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은 사용자들에게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강력한 비밀번호를 사용하고 정기적으로 변경하며, 시스템을 정보 탈취형 악성코드로부터 보호하는 등 기본적인 사이버 보안 조치를 강화해야 한다고 매체는 전했다.
<저작권자 Copyright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