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파이낸셜뉴스 언론사 이미지

정비사업 '전자동의' 도입.."5개월 걸리던 절차, 2주로 단축"

파이낸셜뉴스 장인서
원문보기

정비사업 '전자동의' 도입.."5개월 걸리던 절차, 2주로 단축"

속보
김건희 특검, 경찰청 압수수색…"자료 제출받는 차원"
1기 신도시부터 시범 적용
전국 노후계획도시로 확대


전자동의시스템 정보그림. 국토교통부 제공

전자동의시스템 정보그림. 국토교통부 제공


[파이낸셜뉴스] 앞으로 재건축·재개발 등 정비사업에서 주민 동의 절차에 ‘전자동의’ 방식이 도입된다. 기존 서면 방식보다 시간과 비용이 크게 줄어들며 1기 신도시 등 노후계획도시 정비사업의 추진 속도가 빨라질 전망이다.

국토교통부는 19일 국무회의에서 ‘노후계획도시 정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개정안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개정안은 오는 25일부터 시행되며, 정비사업 추진 과정에서 토지 등 소유자의 동의를 전자적 방식으로 받을 수 있도록 허용한다.

전자동의는 알림톡이나 문자로 발송된 링크에 접속해 본인 인증 후 동의 여부를 제출하는 방식이다. 기존 3000가구 기준으로 약 5개월 이상 소요되던 서면 동의 절차를 약 2주 이내로 단축할 수 있다. 비용도 수천만원에서 수백만원대로 절감할 수 있다.

해당 시스템은 현재 1기 신도시를 중심으로 규제샌드박스를 통해 시범 운영되고 있으며, 전국 노후계획도시로 확대될 예정이다. 한국국토정보공사(LX)가 시스템을 운영하며 조합 설립과 주민대표단 구성, 특별정비예정구역 지정 등 각 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다.

전자 방식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층 등 디지털 취약계층을 위해 현장 동의 등 병행 절차도 마련됐다. 국토부는 시스템의 보안성과 신뢰도를 확보해 제도 안착을 추진할 계획이다.

한편 이날 국무회의에서는 △택지개발촉진법 시행령 및 공공주택 특별법 시행령 개정에 따른 공공택지 내 공동주택용지 전매제한 완화 △12·29여객기참사 피해지원 특별법 시행령 제정안도 함께 의결됐다.

#국토부 #정비사업 #LX #전자동의

en1302@fnnews.com 장인서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