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박용철 인천 강화군수는 지난 16일 매일경제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지난해 11월 박 군수는 대북 전단 살포 행위로 인한 군민 피해가 위험 수위를 넘었다고 봤다.
이 때문에 강화 전역을 위험구역으로 설정하고 대북 전단 살포 금지 행정명령을 내린 바 있다. 안전총괄과에 특별사법경찰관도 지정했다.
강화는 북한과 최단 거리가 1.8㎞에 불과해 대남 방송 소음에 그대로 노출돼 있다. 박 군수는 "지난해 7월부터 북한의 대남 소음 공격으로 소상공인의 영업손실은 물론 부동산 거래가 중단되거나 가축의 산란율 급감 등으로 농축산업 분야까지 광범위한 피해를 봤다"며 "새 정부가 지난 11일 대북 방송 중단을 지시하고 북한도 12일부터 대남 소음 방송을 멈추면서 주민들이 평온하게 지내고 있다"고 전했다.
또한 그는 "대북 전단 살포 우려가 여전한 데다 남북 관계가 틀어지면 언제든 대남 소음 공격이 재발할 수 있다"면서 "소음 영향권의 창호를 교체하고 서해 5도 주민에게 지원하는 월 15만원 정주생활지원금을 강화까지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10일엔 제1호 공약인 군민통합위원회가 출범했다. 위원회는 주요 정책·현안에 대한 의견 수렴, 민원·분쟁 협의·조정 등의 역할을 한다. 박 군수는 "군민 간 화합이 우선이라는 판단하에 강력히 추진하게 됐다"고 말했다.
그는 경제구조가 1차 산업 중심에 머무른 데다 인구 7만명 벽에 갇혀 있는 강화를 발전시킬 방안을 고민 중이다. 강화 남단 경제자유구역 지정, 국립강화고려박물관 유치, 교통망 확충 등이 대표적이다. 이달 말 인천경제청이 산업통상자원부에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신청하면 하반기께 개발계획 승인·고시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박 군수는 강화 남단 경제자유구역 지정과 더불어 강화~영종을 잇는 서해평화고속도로 건설에도 사활을 걸고 있다. 그는 "서해평화도로가 건설되면 인천국제공항과 20분 내로 연결돼 강화 남단이 첨단산업과 물류 허브로 발돋움하게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오는 11월에는 2030년 개통을 목표로 강화~계양고속도로가 착공된다. 개통 뒤에는 서울과 30분, 수도권 주요 산업벨트와 1시간 이내로 접근이 가능해진다.
박 군수는 "강화 남단 경제자유구역 지정과 국립강화고려박물관 유치, 사회간접자본(SOC) 확충 등은 강화의 100년 미래를 설계하는 중대한 일"이라면서 "이 핵심 동력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첨단산업과 문화관광이 어우러진 활력 넘치는 도시, 양질의 일자리가 넘쳐나는 도시로 발돋움하겠다"고 말했다.
[강화 지홍구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