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쿠키뉴스 언론사 이미지

[쿠키과학] 초대형 풍력 블레이드 '설계-제작-시험' 플랫폼 통합 인프라 확보

쿠키뉴스 이재형
원문보기

[쿠키과학] 초대형 풍력 블레이드 '설계-제작-시험' 플랫폼 통합 인프라 확보

속보
순직해병 특검 "'VIP 격노' 회의에 김용현 참석 진술 확보"
에너지연, 12㎿급 풍력 블레이드 자동화 제작 기반 마련
블레이드 공력-구조 통합설계 플랫폼 국산화
풍력 블레이드 전주기 연구 인프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풍력 블레이드 전주기 연구 인프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우리나라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2038년 재생에너지 발전용량을 2024년보다 4배 높이고, 이 중 풍력발전이 30%를 담당한다.

이를 달성하려면 기존 풍력발전기보다 출력이 높은 10㎿ 이상 대형 풍력발전기가 필요하지만, 현재 우리나라 풍력발전기는 5㎿급 중소형이 주를 이루고 있다.

대형 풍력발전기는 설치면적 대비 경제성과 유지보수의 효율이 높아 향후 재생에너지 발전량을 높일 핵심 설비다.

그러나 현재 풍력발전 핵심 부품 국산화율은 34%에 불과하고, 특히 10㎿ 이상 풍력발전기의 핵심인 블레이드를 설계 및 제작할 수 있는 국내기업 없어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초대형 풍력 블레이드 기술 확보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이하 에너지연) 풍력연구단 유철 단장 연구팀이 독자기술로 풍력산업의 글로벌 시장 경쟁력 확보를 위한 12㎿급 초대형 블레이드 설계 및 제작 원천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초대형 풍력 블레이드 설계 플랫폼과 제작부터 시험까지 가능한 통합 인프라를 구축하고 국제 인증기관 설계인증을 획득했다.

10㎿ 이상 풍력 블레이드 설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10㎿ 이상 풍력 블레이드 설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연구팀은 초대형 블레이드 설계를 위한 국산 플랫폼 ‘KIER-블레이드포지’를 개발했다.

블레이드 설계는 공력과 구조가 핵심으로, 기존에는 바람이 블레이드 표면을 지날 때 발생하는 힘을 제어하기 위해 공력 설계를 먼저 수행하고 이후 안정성 향상을 위한 구조 설계를 진행했다.

이 경우 공력설계가 조금이라도 변경되면 구조설계를 완전히 바꿔야 한다.

이에 연구팀은 최신 인공지능(AI)과 최적화 알고리즘을 적용해 블레이드 단면형상, 비틀림 각도 등 미세한 설계변수까지 실시간 반영하는 공력-구조 통합설계 플랫폼을 구축했다.

아울러 여기에 블레이드 설계 모든 과정을 자동화한 소프트웨어를 적용, 기존 한 달 이상 소요되는 고반복 수작업 대비 설계 최적화 시간을 50% 이상 단축했다.

특히 복합재 적층구조와 블레이드 제작공정에서 발생 가능한 기술적 문제를 사전에 식별하고 개선할 수 있는 제작 검증체계를 마련, 향후 대형 블레이드 양산의 기술 리스크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했다.

설계 결과를 바탕으로 7.5m 축소형 블레이드를 제작 후, 정적 하중 시험을 통해 주요 구간의 변형률, 변위, 강성 분포 등 구조적 거동 특성을 실험적으로 계측한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설계 결과를 바탕으로 7.5m 축소형 블레이드를 제작 후, 정적 하중 시험을 통해 주요 구간의 변형률, 변위, 강성 분포 등 구조적 거동 특성을 실험적으로 계측한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이렇게 개발한 플랫폼은 한국선급의 개념승인(AIP) 인증을 획득, 신뢰성과 기술적 타당성을 공인받았다.

또 연구팀은 국내 최초로 설계한 블레이드의 실효성과 안정성을 검증할 수 있는 풍력 블레이드 전주기 시험 통합 인프라를 설치했다.

이 시설은 자동화 기반 블레이드 해석 및 설계실, 최적의 블레이드 형상 구현을 위한 풍동 실험실, 블레이드 제작실과 블레이드 구조 실험실을 포함하고 있어 블레이드 축소 모델을 대상으로 설계-제작-시험에 이르는 과정을 테스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연구팀은 설계한 길이 107m, 12㎿급 초대형 풍력 블레이드는 국제 인증기관인 덴마크 DNV로부터 설계인증을 획득, 글로벌 기준에 부합하는 설계 안정성과 기술경쟁력을 입증했다.

에너지연은 제주글로벌연구센터에 관련 인프라를 조성하고 외부 기관과 협력연구에 활용하며 추후 관련 제도가 마련되면 기업 및 기관 모델 테스트를 추진할 예정이다.

유 단장은 “초대형 풍력 블레이드의 공력·구조 설계부터 제작, 시험에 이르는 전 주기 핵심기술을 확보해 향후 글로벌 풍력시장에서 기술 자립과 경쟁력 확보를 기대할 수 있다”며 “국제인증을 획득한 국산 블레이드를 기반으로 글로벌 해상풍력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상용화 모델을 확보하고, 수입 대체효과와 국내 제조업 기반 수출 경쟁력 제고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왼쪽부터) 강태한 학생연구원, 강병호 박사후연구원, 유철 단장, 권대용 선임연구원, 박세명 선임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왼쪽부터) 강태한 학생연구원, 강병호 박사후연구원, 유철 단장, 권대용 선임연구원, 박세명 선임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