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파이낸셜뉴스 언론사 이미지

로보터스, R&D·글로벌 협력 강화로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선도

파이낸셜뉴스 최두선
원문보기

로보터스, R&D·글로벌 협력 강화로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선도

속보
경제인 사면, 최신원…박상진·장충기·최지성·현재현 복권
로보터스 홈페이지 캡처

로보터스 홈페이지 캡처


[파이낸셜뉴스] '힘토크센서(Force Torque Sensor)' 시장을 선도하는 로보터스가 첨단 기술 연구개발(R&D)과 글로벌 협력 강화에 속도를 내며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선점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19일 로보터스에 따르면 이 회사는 현재 독보적인 힘토크센서 기술 고도화를 위해 인공지능(AI) 기반 센서 융합 연구와 함께 높은 강성을 구현하고 우수한 선형성으로 정밀도를 극대화한 강성 센서 연구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특히 센서의 정밀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머신러닝 알고리즘 고도화와 다양한 산업용 로봇에 최적화된 맞춤형 센서 솔루션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로보터스는 2016년 국내 최초로 힘토크센서를 상용화한 이후 현재까지 전세계 200여개 기업과 연구소에 제품을 공급하며 독보적인 입지를 구축해 왔다. 미국, 유럽, 중국 등 주요 해외 시장에서 호평을 받으며 유수의 글로벌 로봇 기업과도 활발한 협업을 이어가고 있다. 최근에는 중국 상하이의 ‘지능형 제조 및 로봇공학 국제공동혁신센터(iRIC))’와 기술 협력의 기반을 다지기도 했다.

힘토크센서는 협동 로봇, 의료 로봇, 휴머노이드 로봇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산업 전반에 걸쳐 생산성 향상과 안전성 확보에 기여하고 있다. 특히 휴머노이드 로봇의 정밀한 동작 제어에 핵심 부품으로 자리 잡아 ‘1가구 1로봇’ 시대를 앞당기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랜드 뷰 리서치에 따르면 전세계 AI 기반 로봇 시장 규모는 지난 2023년 약 127억7000만달러(17조4000억원)였으며 이후 7년간 연평균 38.5%의 성장률을 기록해 2030년에는 약 1247억7000만달러(170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로보터스 관계자는 “기술의 정밀성과 신뢰성을 최우선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있다”며 “앞으로도 혁신적인 연구개발과 파트너십 확대를 통해 차별화된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dschoi@fnnews.com 최두선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