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더팩트 언론사 이미지

대구시 군위군, SMR 기반 '에너지 자립도시' 조성 첫발…미래 전략 모색

더팩트
원문보기

대구시 군위군, SMR 기반 '에너지 자립도시' 조성 첫발…미래 전략 모색

서울구름많음 / 33.3 °

신도시 개발 등 변화에 대응할 에너지 전략 논의
기관장·지역 주민 등 400여 명 참석해 높은 관심


대구시 군위군청 전경. /정창구 기자

대구시 군위군청 전경. /정창구 기자


[더팩트 | 군위=정창구 기자] 대구시 군위군이 소형모듈원자로(SMR)를 중심으로 한 에너지 자립도시 조성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군위군은 19일 삼국유사교육문화회관에서 '군위, 미래에너지 포럼'을 개최하고 신도시 개발과 통합신공항 개항 등 변화하는 지역 여건에 대응할 에너지 전략을 논의했다.

대구시와 군위군이 공동 주최하고 군위포럼과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이 주관한 이번 포럼은 군위 신도시 조성을 위한 에너지 기반 구축 방안 중에서도 특히 SMR 기술을 활용한 자립형 에너지 체계가 집중적으로 다뤄졌다.

이날 행사장에는 김진열 군위군수, 최규종 군위군의회 의장, 사공정한 군위포럼 대표 등 에너지 전문가와 지역 주민 등 400여 명이 참석해 미래 에너지 정책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여줬다.

군위군은 현재 첨단산업단지, 스카이시티, 통합신공항 등 대규모 개발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향후 급증할 에너지 수요를 안정적으로 감당할 수 있는 체계적인 대비가 필요한 시점이다.

포럼 1부에서는 SMR 기술의 가능성과 안정성, 에너지 전환의 필요성을 주제로 3명의 발표가 이어졌다.


손태영 한국수력원자력 SMR사업기획부장은 "탄소중립은 이제 환경이 아닌 생존의 문제이며, SMR은 향후 전 세계적 탄소중립 실현의 핵심 수단으로 부상할 것"이라며 SMR 도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이 기술이 지역 내 에너지 비용을 약 30%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일자리 창출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밖에 박태철 I-SMR기술개발사업단 사업기획실장은 현재까지의 기술 개발 현황과 안정성에 대해 소개했고, 남광현 대구정책연구원 탄소중립지원센터장은 군위 신도시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에너지 전환 전략의 필요성을 짚었다.


2부에서는 전문가 패널 토론이 이어졌다. 이수출 경북대학교 교수가 좌장을 맡고, 정범진 전 한국원자력학회장, 이정익 KAIST 교수 등이 참여해 '에너지 자립도시 실현을 위한 SMR 도입 전략과 과제'를 중심으로 논의했다. 특히 이 토론은 주민들의 질의응답이 포함돼 단순한 전문가 중심 발표가 아닌 실질적인 정책 공감대 형성의 장이 됐다.

사공정한 군위포럼 대표는 "미래 도시 경쟁력은 친환경 에너지 확보 능력에 달려 있으며 주민 참여와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진열 군위군수는 "에너지가 곧 국력인 시대에 군위의 지속가능한 미래는 안정적 에너지 확보에서 출발한다"며 "차세대 에너지 시스템을 통해 자립적인 도시를 조성하고,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겠다"고 밝혔다.


군위군은 이번 포럼에서 수렴된 다양한 의견과 제안을 바탕으로, SMR 기반의 에너지 자립도시 전략을 구체화하고 단계별 실행 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tk@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