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한국일보 언론사 이미지

DSR 3단계 코앞...서울 '집 살 때 대출' 비중, 강남 내리고 강북은 올랐다

한국일보
원문보기

DSR 3단계 코앞...서울 '집 살 때 대출' 비중, 강남 내리고 강북은 올랐다

속보
김건희특검, 내일 '공천개입' 관련 김영선 전 의원 소환
5월 거래가액 대비 채권최고액 비중
강남3구, 마용성 일제히 줄었는데
'노도강' 등 서울 외곽은 크게 증가
"DSR 규제, 비강남권 수요 줄일 듯"


16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아파트 단지의 모습. 뉴스1

16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아파트 단지의 모습. 뉴스1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시행을 앞두고 '막차 수요' 영향으로 서울 집값이 빠르게 상승하면서 비(非)강남권 주택 매수자의 대출 비중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DSR 규제가 강화되면 대출 의존도가 높은 서울 외곽지역의 부동산 시장 수요가 단기적으로 축소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18일 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에서 소유권이전등기(매매) 신청이 접수된 집합건물(아파트·연립·오피스텔 등)의 거래가액 대비 채권최고액 비율은 평균 48.10%였다. 지난달(52.36%)보다 4.26%포인트 감소한 수치로, 올 들어 가장 낮은 수준이다. 채권최고액은 은행이 돈을 빌려줄 때 갚으라고 요구할 수 있는 최대 금액이다. 통상 대출 금액의 120% 수준으로, 채권최고액 비중이 높을수록 집을 살 때 돈을 많이 빌렸다는 의미다.

그래픽=이지원 기자

그래픽=이지원 기자

서울 자치구 중에서도 수요가 몰리는 강남3구의 채권최고액 비중은 크게 감소했다. 서초구는 4월 44.84%에서 5월 35.87%로 8.97%포인트나 떨어졌고, 강남구는 45.86%→39.16%, 송파구는 42.56%→39.96%로 크게 줄었다. '마용성'으로 불리는 마포구(47.85%→46.70%) 용산구(45.97%→41.69%) 성동구(52.77%→51.84%)도 각각 채권최고액 비중이 소폭 감소했다.

반면 '노도강(노원·도봉·강동구)' 지역의 채권최고액 비중은 급증했다. 강북구는 4월 62.20%에서 5월 68.31%로 6.11%포인트나 올랐다. 노원구(63.56%→66.01%), 도봉구(59.47%→64.66%)는 물론 동대문구(56.46%→62.66%), 금천구(62.90%→69.91%)도 비중이 크게 올라 60%대를 기록했다. 강남발 서울 집값 상승세가 매서워지자 '지금 매매하지 않으면 서울 입성을 영영 못 한다'는 불안감에 '영끌'에 나선 수요자들이 이 지역에 몰렸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일각에선 3단계 스트레스 DSR 규제가 강남권보다 비강남권의 수요를 중심으로 위축시킬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강남은 이미 대출 의존도가 높지 않고 토지거래허가제 등 각종 규제도 강화돼 있는 만큼 영향이 크지 않을 수 있다는 얘기다. 송파구 잠실동의 한 공인중개사는 "강남권은 갭투자(전세 끼고 매매)가 안 되는 건 물론이고 대출 한도도 적어 현금을 들고 갈아타려는 수요가 가격을 이끄는 곳"이라며 "대출 규제로 인한 강남 수요 감소 폭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신지후 기자 hoo@hankook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