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예의 전당' 세계 최초 등재
코리아소사이어티와 한미 협력기회 논의
장인화 회장, 호주 사업 현장 점검 등 글로벌 경영 행보 박차
![]() |
미국 뉴욕에서 18일(현지시간) 열린 WSD 포럼에서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이 명예의 전당 기념액자를 전달 받은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포스코그룹이 미국 뉴욕에서 그룹의 글로벌 리더십 강화 전략을 발표하고, AI 및 에너지 분야에서 한-미 상호협력을 통한 제조업의 해법을 모색했다.
포스코그룹은 19일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이 18일(현지시간) 뉴욕에서 글로벌 철강 전문 분석기관 월드스틸다이나믹스(World Steel Dynamics)가 주최한 글로벌 포럼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장 회장은 포럼에서 초일류 미래소재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한 포스코그룹의 전략을 소개했다.
이 자리에는 데이비드 버릿 US스틸 CEO, 로렌코 곤칼베스 클리브랜드 클리프스 회장, TV 나렌드란(TV Narendran) 타타스틸 CEO 등 철강업계 리더와 업계 관계자 500여명이 참석했다.
특히 이날 포럼에서는 포스코그룹이 글로벌 철강그룹사 중 처음으로 WSD 명예의전당(Hall of Fame)에 영구 헌액되는 기념식을 개최해 그 의미를 더했다.
포스코그룹은 WSD가 2002년부터 전세계 35개 철강사를 대상으로 기술 혁신, 생산 규모, 원가 절감, 가공비, 재무 건전성, 고객사 접근성, 원료 확보 등 23개 항목을 심사하는 ‘세계에서 가장 경쟁력 있는 철강기업’ 평가에서 2010년부터 15년 연속으로 1위에 선정됐다. 이러한 영예와 최고 경쟁력을 인정받아 명예의전당에 헌액됐다.
또 장 회장은 AI를 통한 인텔리전트 팩토리 실현, 수소환원제철 기술개발 등 경쟁력 향상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면서, 과감한 도전정신과 지속적인 혁신을 통해 책임있게 성장하는 포스코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포럼에 앞서 장 회장은 17일 한미 양국 상호 이해와 협력 증진을 위해 설립된 단체인 코리아소사이어티가 주관하는 라운드테이블에 참석해 그룹사업을 중심으로 한-미 협력방안 모색에도 나섰다.
라운드테이블에는 코리아소사이어티 캐슬린 스티븐스 이사장, 토마스 번 회장, 메릴랜드대 제이 리 석좌교수, 미국 에너지협회 마크 메네제스 회장을 비롯해 양국의 AI, 지정학, 에너지 분야의 전문가·석학들이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는 글로벌 경제블록화 등 지정학적 불확실성 속에서 철강, 이차전지 소재 그리고 에너지 분야에서의 한미 협력 기회에 대해서 심도 있는 논의가 오갔다.
장 회장은 지난 4월에는 호주에서 열린 세계철강협회 집행위원회 참석을 비롯해 호주 세넥스에너지 가스전 사업 현장을 점검했고, 캐나다에 소재한 양극재 생산법인인 얼티엄캠 공사 현장을 찾아 글로벌 이차전지소재 사업 현황을 직접 챙겼다. 또한 5월에는 국내기업 최초 해외 자원 전문 연구소인 호주 핵심자원연구소 개소식에 참석하는 등 철강과 이차전지소재사업 중심의 글로벌 경영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이투데이/정진용 기자 (jjy@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