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더팩트 언론사 이미지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韓 기업 과반 "협력, 경제 발전 촉진"

더팩트
원문보기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韓 기업 과반 "협력, 경제 발전 촉진"

서울맑음 / 34.5 °

한경협 경제협력 설문조사…"첨단 산업 분야 협력 강화해야"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앞두고 한국 기업 과반은 양국 협력이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앞으로 첨단 산업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평가했다. /더팩트 DB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앞두고 한국 기업 과반은 양국 협력이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앞으로 첨단 산업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평가했다. /더팩트 DB


[더팩트ㅣ최의종 기자]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앞두고 한국 기업 과반은 양국 협력이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앞으로 첨단 산업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평가했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사흘 앞둔 19일 매출액 상위 1000대 비금융사 대상·101개 사 응답 경제협력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를 통해 한국 기업 과반(56.4%)이 한국 경제 발전을 촉진(매우 촉진 7.9%·다소 촉진 48.5%)했다고 평가했다고 밝혔다.

기업들은 경제 발전에 기여한 협력 분야(1·2순위 선택)로 △기술 이전·협력(53점) △일본 진출을 통한 시장 확대(35점) △관광, 문화 산업 발전(29점) △소재·부품·장비 등 공급망 안정화(27점) 등을 꼽았다.

한국 기업 10곳 중 6곳(62.4%)은 한국 경제 성장을 위해 앞으로 한일 경제협력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협력이 불필요하다는 의견은 3.0%에 그쳤다. 응답 기업 88.1%는 경제협력을 위해 안정적인 한일 관계가 중요하다고 답했다.

한경협은 "한일 경제협력에 기업 공감대를 확인했다"라며 "생산적인 협력이 지속되도록 양국 관계를 안정적으로 유지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한국 기업은 양국이 최근 전략적 가치가 커지는 첨단 산업 분야에서 협력했을 때 큰 시너지를 창출하리라 기대했다. 공통으로 저출생·고령화 대응을 위한 바이오·헬스 케어 분야도 유망 협력 분야로 꼽혔다.


일본과 협력했을 때 시너지 효과가 기대되는 산업(1·2순위 선택)으로 △반도체(91점) △AI(57점)가 언급됐다. 뒤이어 △자동차(39점) △바이오·헬스케어(32점) △조선(26점) △배터리(26점) 순으로 기대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한국 기업은 보호무역주의 등 글로벌 통상 이슈 공동 대응(69점)을 가장 필요한 한일 경제협력(1·2순위 선택) 방식으로 꼽았다. 이어 공동 연구·인재 육성 등 연구개발(R&D) 협력(52점)과 정상급 교류 확대(46점), 제3국 공동 진출(36점) 등도 언급됐다.

한경협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 상호 관세 부과(현지시간 7월 9일 예정) 등으로 대외 불확실성이 커진 가운데 설문 결과는 기업이 통상 리스크에 공동 대응 필요성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라고 설명했다.


일본과 개별 협력 관계를 유지하는 기업(61개 사) 10곳 중 4곳은 일본과의 협력이 비즈니스에 중요하다고 응답했다. 협력이 중요하지 않다는 응답은 16.4%, 전혀 중요하지 않다는 응답은 1.6%로 조사됐다.

일본과 협력 중인 한국 기업 2곳 중 1곳은 양국 협력을 다른 국가로 대체하기 어렵거나 대체에 3년 이상이 필요하다고 봤다. 다른 국가로 대체하는 것이 어렵다는 기업이 21.3%, 3년 이상 소요된다는 기업이 27.9%, 1~3년 소요된다는 기업이 26.2%다.

김봉만 한경협 국제본부장은 "한일 경제협력에 한국 기업의 높은 수요를 확인했다"라며 "한경협은 첨단 산업 등 유망 협력 분야를 중심으로 한국 기업 경제 영토 확장을 적극 지원하고, 일본 측 파트너인 일본경제단체연합회와 협력도 더욱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bell@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