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기 기자]
[라포르시안] 한국생물안전협회(회장 장경수)는 국가 생물안전 관리체계의 발전과 관계기관 간 협력 강화를 위해 사람, 가축, 수산생물, 야생동물 및 식물 분야의 생물안전 관리기관과 함께 지난 12일부터 13일까지 경상남도 거제시 소노캄 리조트에서 '2025년 한국 생물안전 콘퍼런스'를 개최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날 행사는 한국생물안전협회가 질병관리청, 농림축산검역본부, 국립수산과학원,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가연구안전관리본부 등 5개 부처와 공동주최했다.
최근 병원체 취급 및 현대생명공학 기술 발전에 따른 유전자변형산물 활용 증가에 따라 생물안전 중요성은 더 커지고 있으며, 국가적 차원의 관리 강화와 전문가 양성이 시급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번 콘퍼런스를 통해 생물안전의 역할과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 국가 생물안전관리 정책 수립과 현장 적용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국내·외 생물안전 이슈와 관리 방안 논의를 진행했다.
![]() |
[라포르시안] 한국생물안전협회(회장 장경수)는 국가 생물안전 관리체계의 발전과 관계기관 간 협력 강화를 위해 사람, 가축, 수산생물, 야생동물 및 식물 분야의 생물안전 관리기관과 함께 지난 12일부터 13일까지 경상남도 거제시 소노캄 리조트에서 '2025년 한국 생물안전 콘퍼런스'를 개최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날 행사는 한국생물안전협회가 질병관리청, 농림축산검역본부, 국립수산과학원,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가연구안전관리본부 등 5개 부처와 공동주최했다.
최근 병원체 취급 및 현대생명공학 기술 발전에 따른 유전자변형산물 활용 증가에 따라 생물안전 중요성은 더 커지고 있으며, 국가적 차원의 관리 강화와 전문가 양성이 시급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번 콘퍼런스를 통해 생물안전의 역할과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 국가 생물안전관리 정책 수립과 현장 적용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국내·외 생물안전 이슈와 관리 방안 논의를 진행했다.
콘퍼런스 첫째 날인 12일 오전에는 '생물안전 시설 유지관리'와 '생물안전 운영 및 관리'의 두 가지 주제로 나눠 프리콘퍼런스를 진행했다. 각 세션에서는 생물안전 3등급 연구시설의 재확인 점검, 동물이용 생물안전시설 신규 허가 사례, LMO 안전관리 및 국가승인제도 등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전문지식과 정보를 제공했다.
독일 하이델베르크 대학 김희영 박사가 '독일 하이델베르크 대학의 생물안전 연구시설 운영 및 감염병 연구동향'에 대한 기조발표를 시작으로 국내외 생물안전 기술 및 동향 관련 전문가 발표와 각 주최기관의 생물안전 국가관리제도 안내를 진행했다.
주요 발표로는 아프리카 내 바이러스 출혈열과 의료진의 생물안전 해외파병 장병들의 생물안전 확보 방안 동물분야 매개체 감시 및 매개체성 질병 모니터링 현황 등이 이어졌다.
생물안전협회 장경수 회장은 개회사에서 "첨단 생명과학 및 AI 기술의 발전과 함께 생물안전에 대한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우리 사회의 과학적 책임과 정책적 대응도 한층 더 정교해질 필요가 있다"며 "생물안전은 특정 영역에 국한된 과제가 아닌, 사회 전반이 함께 책임져야 할 통합적 과제로, 앞으로 협회는 관계 부처 및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소통과 연계를 강화해 우리나라가 국제적 생물안전 기준을 선도하도록 적극적인 노력을 다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Copyright ⓒ 라포르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