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파인드비 언론사 이미지

국립산림과학원, 몽골 사막화 방지를 위한 조림 사업 효과 입증

파인드비 장미진 기자
원문보기

국립산림과학원, 몽골 사막화 방지를 위한 조림 사업 효과 입증

서울맑음 / 28.6 °
조림 8년 후 나무 면적 12% 증가, 모래땅 면적 18% 감소
중국 내몽골자치구 후룬베이얼 사막화 방지 조림사업지_조림사업지 울타리 내외 비교 (사진=국립산림과학원)

중국 내몽골자치구 후룬베이얼 사막화 방지 조림사업지_조림사업지 울타리 내외 비교 (사진=국립산림과학원)


산림청이 2007년부터 몽골에서 수행중인 '한-몽 그린벨트 조림사업' 중 대표 조림사업지인 룬솜 지역의 1차 조림 사업지를 위성영상으로 분석한 결과, 조림 8년 후 나무 면적이 조림 전보다 12% 증가했고, 모래땅 면적은 1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조림사업을 통한 사막화 방지와 황사 저감에 효과가 있음을 과학적으로 입증함에 따라 그 의미가 높다.

국립산림과학원의 사막화 방지를 위한 국제공동연구 성과는 2022년 유엔사막화방지협약(UNCCD)이 발간한 「제2차 전세계 토지 전망 보고서」에 수록되었다. 또한 2023년 우즈베키스탄에서 개최한 '제21차 유엔사막화방지협약(UNCCD) 협약이행검토위원회(CRIC)'에서도 국가 간 협업을 통한 모니터링 및 평가 체계 구축의 모범사례로 소개되었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최형태 과장은 "사막화 방지와 산림복원을 위해서는 현지 자연환경뿐만 아니라 인문·사회적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과학적 조림 기술과 장기적인 사후관리와 모니터링이 필수"라며, "지난 5월에는 중국임업과학연구원과 동북아시아 지역 사막화 방지를 위해 연구협약을 체결하는 등 앞으로도 사막화, 가뭄, 황사(SDS) 등 전 세계적인 이슈에 과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현지 연구진과의 협력을 지속해 나갈 것"라고 밝혔다.

산림청은 2000년대 초반부터 중국, 몽골, 미얀마 등 사막화 피해가 심각한 국가에서 산림복원 조림 사업을 추진해 오고 있다.

<저작권자 Copyright ⓒ 파인드비(http://www.find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