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디지털데일리 백지영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17일(현지시간) 캐나다에서 열린 주요7개국(G7) 정상회의에 초청국으로 참석해 "국가 전반의 AI(인공지능) 대전환을 추진하며 아태지역 제1의 AI허브 구축을 병행하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 '에너지 안보의 미래'를 주제로 열린 G7 회의 업무 오찬 및 확대 세션에 참석해 "AI 혁신에 민간의 역할이 크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 확대 세션에는 의장국인 캐나다를 비롯한 G7 국가와 한국, 호주, 인도, 남아프리카공화국, 브라질, 멕시코, 우크라이나 등 7개 초청국, 유엔,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세계은행 등이 참석했다.
이 대통령은 이번 확대 세션에서 두 차례 발언을 통해 먼저 "에너지 안보 달성과 핵심 광물 공급망 안정화가 글로벌 경제 성장과 번영의 관건"이라며 "이를 위한 국제적 연대와 협력에 적극 동참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AI 기술 발전으로 전력수요가 급증하는 가운데, 기후 변동성과 지정학적 불안정성으로 에너지 공급망이 위협받고 있다"며 "에너지 안보를 위해서는 안정적이고, 경제적이며, 신뢰할 수 있는 에너지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 견고한 재생에너지 산업생태계 구축 ▲ '에너지 고속도로'와 같은 효율적 에너지 인프라 마련 ▲ 사이버 공격에도 견뎌낼 수 있는 신뢰할 수 있는 에너지시스템 구축을 통해 에너지 안보를 공고히 해나가자고 제안했다.
이 대통령은 또 친환경 에너지 생태계에 필수적인 핵심 광물 공급망의 중요성을 설명했다.
한국이 '핵심 광물 안보 파트너십(MSP)' 의장국 활동을 통해 핵심 광물 공급망 안정에 기여해 나가고 있다고 하면서, 앞으로 G7 회원국과 파트너국을 비롯해 핵심 광물 보유국들과 양자·다자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약속했다.
두번째 발언에선 AI 기술 발전에 대처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과제도 제시했다.
이 대통령은 "안정적인 글로벌 AI 생태계 구축이 필요하다"며 "한국이 AI 반도체 공급망 안정을 위한 국제협력과 연대에 적극 기여하며 저전력 AI 반도체(NPU) 개발 등을 통해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는 동시에, AI 산업에 필수적인 에너지 공급망 확보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AI 혁신에 있어 민간의 역할이 크다"면서 "민간의 참여를 확대하기 위해 과감한 세제 혜택과 규제혁신, 국민펀드 조성을 통해 국가 전반의 AI 대전환을 추진해 아태지역 제1의 'AI 허브'를 구축하겠다"는 뜻을전했다.
이와 함께 "모든 인류가 AI의 혜택을 향유할 수 있도록 국제사회와 협력해 나가겠다"며 올해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글로벌 AI 협력의 비전과 구체적인 이행방안을 제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