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 전 ‘노부부 유서 음해 사건’에 대해 입장 밝혀
“청탁 거절하자 허위 유서 남기고 극단적 선택”
“보좌관이 녹취한 대화록 제출해 음해서 벗어났다”
“청탁 거절하자 허위 유서 남기고 극단적 선택”
“보좌관이 녹취한 대화록 제출해 음해서 벗어났다”
[이데일리 강소영 기자]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가 최근 일부 언론 및 유튜브 등지에서 제기된 이른바 ‘노부부 투서 사건’에 대해 “정치검찰의 천인공노할 허위 투서 음해 사건”이라고 비판했다.
김 후보자는 18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검찰이 조작해 온 이른바 이재명대통령의 사법리스크에 대해 단 1도 귀기울여본 적 없는 이유는 대한민국의 정치검찰이 어떤 식으로 사냥 작업을 해왔는지를 저 자신 너무 생생히 겪어왔기 때문”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표적 수사, 증거 조작, 허위 보도, 증인 압박, 모두 설마가 사람 잡는 수준으로 윤석열류의 이 나라 정치 검사들이 해온 일”이라며 “이는 정치검찰의 청인공노할 허위투서 음해사건”이라고 주장했다.
![]() |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가 20년 전 노부부 투서 사건과 관련 억울함을 토로했다. (사진=연합뉴스) |
김 후보자는 18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검찰이 조작해 온 이른바 이재명대통령의 사법리스크에 대해 단 1도 귀기울여본 적 없는 이유는 대한민국의 정치검찰이 어떤 식으로 사냥 작업을 해왔는지를 저 자신 너무 생생히 겪어왔기 때문”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표적 수사, 증거 조작, 허위 보도, 증인 압박, 모두 설마가 사람 잡는 수준으로 윤석열류의 이 나라 정치 검사들이 해온 일”이라며 “이는 정치검찰의 청인공노할 허위투서 음해사건”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노부부 투서 사건’에 대해 “청탁을 미끼로 제3자의 돈을 착복한 한 지역주민이 제게 그 청탁을 민원했고, 저는 들어주지 않았다”며 “놀랍게도 그분은 제게 돈을 줬다는 허위투서를 하고 극단적 선택을 했고, 저는 하늘의 도움으로 제 보좌관이 녹취했던 그분과의 대화록을 검찰에 자진제출하고 투서의 음해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김 후보자는 “자신들이 무혐의 처리한 투서를 먼지 쌓인 캐비넷에서 찾아내 월간조선에 넘긴 것도 검찰이었을 것”이라며 “두 번째 표적사정으로 저를 압박하던 시기, 여론을 조작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강조했다.
김 후보자는 2012년에 발간한 자신의 정치 에세이집 ‘3승’에서도 해당 사건을 언급한 바 있다. 그는 “이 사건이 일어난 2005년은 내가 2002년 대선 이후 칩거하던 시기”라며 “혹시 나를 압박하면 돈을 돌려받을 수 있을까 싶어 모른 척하고 나를 압박하는 데 동조했던 제삼자(돈 주인) 역시 결국 검찰 조사에서 내가 그 일에 관련되지 않았음을 어느 시점에선가 알게 되었다고 고백했다”고도 전했다.
이어 “인간이 무서웠다. 음모라는 것이 이런 거구나 싶었다. 당시 임신 중이던 아이들 엄마는 그 사건의 충격으로 태중의 아이가 잘못될까 두려워했다”고 덧붙였다.
또 김 후보자는 “이 끔찍한 기억의 상처를 헤집어놓은 것은 다름 아닌 검찰이었다”며 “정치자금법으로 조사를 받을 때, 혐의사실을 사전에 언론에 유포하며 나를 압박하던 검찰은 급기야 자신들이 조사해 무혐의 처분이 난 2005년 그분의 사건을 ‘월간조선’에 흘렸다”고 적었다.
김 후보자는 당시 ‘노부부 투서 사건’ 의혹을 제기한 언론을 향해 “상식에 맞지 않는 짓을 하는 검찰의 빨대가 돼 보도라는 명목으로, 한치의 합리도 없이 지면에 팔아대는 집단을 저는 기레기가 아니라 쓰레기라 본다”며 “내 눈의 들보로 티끌을 찾으려 하는 이들이 다시 그 치떨리는 정치검찰-쓰레기 찌라시 협잡카르텔의 자발적 노예로 나서고 있다. 그 따위 허위 투서로 두 번 세 번 우려먹는 장난질에 당하지 않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김 후보자에 인사청문회는 오는 24~25일 양일간 열린다. 그간 김 후보자를 둘러싼 의혹들이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김 후보자의 모친이 소유한 목동 소재 빌라 거래 의혹 등도 추가로 제기된 상황이다.
이는 김 후보자가 설립한 사단법인 임원 이모씨가 2019년 회사 명의로 2억 원에 전세계약을 맺었고, 한 달 뒤 김 후보자의 배우자가 2억 5000만 원에 다시 계약, 그 다음해엔 장모가 다시 2억 8000만 원에 계약한 것으로 알려진 것인데, 국민의힘은 정상 거래를 증명하기 위한 임대차 계약서 등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그러자 김 후보자는 “모든 문제에 대해 답할 것이고 청문회를 통과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