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18일 ‘특별 현장점검의 날’ 지정
“폭염·호우 취약 사업장도 병행 점검”
“폭염·호우 취약 사업장도 병행 점검”
![]() |
지난해 6월 24일 오전 경기 화성시 서신면의 일차전지 제조 업체 공장에서 불이 나 연기와 불길이 치솟는 장면 [연합] |
[헤럴드경제=김용훈 기자] 정부가 지난해 발생한 전지공장 화재사고를 계기로 18일을 ‘특별 현장점검의 날’로 지정하고, 전국 전지 제조업체와 여름철 자연재난 취약 사업장을 대상으로 대대적인 현장점검에 나선다.
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은 지난해 6월 24일 경기도 화성시의 전지공장에서 발생한 화재사고 1년을 맞아, 유사 사고 재발을 막기 위한 선제 조치로 이번 점검을 추진한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점검은 전국의 고위험 전지 제조업체 430여 개소를 대상으로 진행된다.
고용부 지방고용노동관서와 안전보건공단 인력을 총동원해 ▷비상구 등 대피시설의 유지·관리와 대피훈련 여부 ▷화재 예방을 위한 적정 소화설비 설치 ▷작업장 내 위험물 및 가연물의 파악과 안전한 보관 상태 등을 집중 점검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고용부는 호우나 폭염 등 여름철 자연재난에 취약한 사업장에 대해서도 병행 점검에 나선다. 호우에 취약한 6300여 개소, 폭염에 취약한 6만여 개소가 점검 대상이다. 주요 점검 항목은 ▷침수·붕괴·감전·강풍 등 재해 유형별 핵심 안전수칙 준수 여부와 ▷폭염 안전 5대 기본수칙 이행 여부다.
폭염 안전 5대 수칙은 ①충분한 물 섭취, ②바람 및 그늘 확보, ③2시간마다 20분 이상 휴식, ④보냉장구 착용, ⑤응급조치 체계 마련이다. 고용노동부는 점검 과정에서 급박한 위험이 식별되면 작업중지 조치를 적극 권고하겠다는 방침이다.
김종윤 고용부 산업안전보건본부장은 “지난해 화성 전지공장에서 발생한 화재처럼 대형 인명사고가 반복되지 않도록, 각 사업장이 스스로 화재 위험 요인을 재점검하고 예방에 철저를 기해달라”며 “정부도 오는 9월 말까지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현장 중심의 산업재해 예방 활동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