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히려 이로 인해 정지선 위반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도로교통공단이 지난해 12월 발표한 차량 신호등 잔여시간 관련 연구에 따르면, 잔여시간을 제공한 뒤 차량이 정지선을 지나 멈춘 비율은 그전보다 약 4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 겁니다.
연구팀에 따르면 잔여시간을 본 운전자들이 신호위반 단속을 피하기 위해 급정거를 시도하다가 정지선을 넘어가는 경우가 많아진 것으로 보입니다.
연구팀은 "신호 준수율 향상에는 긍정적 효과가 있었지만, 정지선 통과 속도가 설치 후 오히려 증가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 장치는 윤석열 전임 정부의 정책 과제 중 하나였는데요.
지난해 대구 1곳, 천안 2곳, 의정부 1곳 등 전국 4곳의 교차로를 선정해 6개월간 시범 운영되었습니다.
그러나 지난해 경찰청은 이러한 부정적 효과를 감안해 시범 운영 이후 정식 도입은 하지 않았습니다.
와글와글 플러스였습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