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 여사가 검찰 대면 조사를 앞두고 있던 지난해 7월 초, 김주현 당시 대통령실 민정수석과 비화폰으로 통화한 사실이 알려져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두 사람이 통화하고 나서 약 2주 뒤에 김 여사는 검찰청사도 아닌 경호처 부속건물에서 비공개 조사를 받았고, 이때 검사들이 휴대전화를 모두 반납했다는 사실까지 알려지면서 '황제 조사' 논란이 불거졌습니다.
구민지 기자가 보도합니다.
◀ 리포트 ▶
지난해 7월 3일 김건희 여사와 김주현 당시 대통령실 민정수석이 통화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김 여사는 일반 휴대전화가 아닌, 도청이 불가한 비화폰을 사용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두 사람이 통화한 시점은 검찰이 김 여사를 대면조사 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고 세부 일정을 조율할 때였습니다.
도이치모터스 주가 조작 의혹, 명품가방 수수 의혹과 관련해 언제 어디서 김 여사의 조사가 이뤄질지가 초미의 관심사였습니다.
그런데 통화를 한 지 약 2주 뒤 김 여사는 검찰청사도 아닌 대통령 경호처 부속 건물에서 비공개 조사를 받았습니다.
검찰총장도 사전에 조사계획을 알지 못했고 검사들이 휴대전화를 모두 반납했다는 사실까지 알려지며 황제 조사 논란이 불거졌습니다
[이원석 / 당시 검찰총장 (작년 7월 22일)]
"예외도 특혜도 성역도 없다고 말씀드렸습니다. 그러나 대통령 부인 조사 과정에서 이러한 원칙이 지켜지지 않았고‥"
조사 대상인 김 여사가 검찰 등을 관할하는 대통령실 민정수석과 민감한 시기에 통화한 것 자체가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게다가 김 여사가 국가적 보안 사항이나 기밀을 다루는 국방부, 국정원 등 고위공직자에게만 지급되는 비화폰으로 통화를 한 것도 논란입니다.
[윤건영 / 더불어민주당 의원 (지난 1월 22일)]
"비화폰 한 대를 김건희 씨에게 지급했다라는 거고요. 대통령 내외를 포함해서 총리, 장관 비화폰 전화번호 목록까지 장관들에게 경호처가 지급했다라는 겁니다."
[김성훈 / 전 대통령경호처 차장]
"확인해 드릴 수 없습니다."
무슨 대화를 나눴느냐는 질문에 김주현 전 수석은 답을 하지 않았고, 김 여사는 기억이 안 난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김건희 국정농단 특검법에는 김 여사 의혹들과 관련된 대통령실의 수사 방해 의혹 등이 수사 대상으로 명시돼있습니다.
MBC뉴스 구민지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구민지 기자(nine@mbc.co.kr)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