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석 "검찰의 표적수사, 내 경제적 고통은 상상을 초월"
국민의힘 "김민석 주장은 특권의식...국민청문회 열겠다"
김민석 총리 후보자가 17일 "표적사정으로 시작된 내 경제적 고통은 상상을 초월하는 수준이었고 추징금을 상환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돈을 빌렸다"며 채무 상환을 둘러싼 각종 논란에 입장을 밝혔다. 반면 국민의힘은 신용불량 상태에 있는 어떤 국민이 지인 11명으로부터 1억4,000만 원을 빌리겠냐고 응수했다. 해명이 나와도 여전히 의혹이 가시지 않아 공방이 계속되는 상황이다. 김 후보자의 자질과 도덕성을 검증할 국회 인사청문회는 24, 25일 열린다.
김 후보자는 국민의힘이 ‘허위 차용증’이라고 맹공하는 사적 채무는 중가산세 납부를 위해 어쩔 수 없이 주변에 돈을 빌린 것이라고 페이스북에 입장문을 올렸다. 김 후보자는 2018년 4월 A씨로부터 4,000만 원을 포함해 11명에게 1억4,000만 원을 빌리고 차용증을 썼다. A씨는 지난해 초까지 김 후보자 후원회장을 3년 넘게 맡았다.
김 후보자는 "내가 요청하지도 않은 중앙당 지원금 성격 기업 후원금의 영수증 미발급으로 인한 추징금 2억을 당시 전세금을 털어가며 갚았다"며 "표적사정은 한 번으로 끝나지 않았고, 두 번째 표적사정은 추징금에 더해 숨 막히는 중가산 증여세의 압박이 있었다. 이중 형벌이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신용불량 상태에서 지인들의 사적채무를 통해 세금 압박을 해결했고, 그것이 2018년 4월 여러 사람에게 같은 조건으로 돈을 빌린 배경이라고 부연했다. 아울러 추징금을 완납한 후에 원금을 상환할 생각이었다며 최근 10억 원의 추징금과 중가산 증여세를 다 납부했고 은행대출을 통해 사적 채무도 청산했다고 밝혔다.
국민의힘 "김민석 주장은 특권의식...국민청문회 열겠다"
![]() |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가 17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외신기자간담회에서 질문을 듣고 있다. 뉴스1 |
김민석 총리 후보자가 17일 "표적사정으로 시작된 내 경제적 고통은 상상을 초월하는 수준이었고 추징금을 상환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돈을 빌렸다"며 채무 상환을 둘러싼 각종 논란에 입장을 밝혔다. 반면 국민의힘은 신용불량 상태에 있는 어떤 국민이 지인 11명으로부터 1억4,000만 원을 빌리겠냐고 응수했다. 해명이 나와도 여전히 의혹이 가시지 않아 공방이 계속되는 상황이다. 김 후보자의 자질과 도덕성을 검증할 국회 인사청문회는 24, 25일 열린다.
김 후보자는 국민의힘이 ‘허위 차용증’이라고 맹공하는 사적 채무는 중가산세 납부를 위해 어쩔 수 없이 주변에 돈을 빌린 것이라고 페이스북에 입장문을 올렸다. 김 후보자는 2018년 4월 A씨로부터 4,000만 원을 포함해 11명에게 1억4,000만 원을 빌리고 차용증을 썼다. A씨는 지난해 초까지 김 후보자 후원회장을 3년 넘게 맡았다.
김 후보자는 "내가 요청하지도 않은 중앙당 지원금 성격 기업 후원금의 영수증 미발급으로 인한 추징금 2억을 당시 전세금을 털어가며 갚았다"며 "표적사정은 한 번으로 끝나지 않았고, 두 번째 표적사정은 추징금에 더해 숨 막히는 중가산 증여세의 압박이 있었다. 이중 형벌이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신용불량 상태에서 지인들의 사적채무를 통해 세금 압박을 해결했고, 그것이 2018년 4월 여러 사람에게 같은 조건으로 돈을 빌린 배경이라고 부연했다. 아울러 추징금을 완납한 후에 원금을 상환할 생각이었다며 최근 10억 원의 추징금과 중가산 증여세를 다 납부했고 은행대출을 통해 사적 채무도 청산했다고 밝혔다.
반면 국민의힘은 이 같은 해명이 김 후보자의 특권의식을 그대로 드러냈다고 비판했다. 총리 후보자 인사청문특위 소속 주진우 의원은 "오늘 김 후보자의 입장문은 ①추징금에 이자가 붙어 힘들었다 ②사적 채무는 이자만 낼 생각이었다 ③헌금은 뭐라 하지 말라 요약된다"고 지적했다. 주 의원은 "신용불량 상태에서 지인 11명에게 1억4,000만 원을 쉽게 빌릴 수 있냐"고 되물으며 "유력 정치인이 아니면 불가능하고, 총리가 됐을 때 이들이 국정에 관여하거나 이권을 챙길 수 있다는 우려가 생긴다"고 주장했다.
특히 야당은 중가산 증여세로 어려운 상황에서 아들을 해외대학에 유학 보내고 거액을 헌금한 것이 석연치 않다는 입장이다. 세비 5억1,000만 원을 제외하면 유학비, 생활비, 헌금 2억 원의 출처를 알 수 없다는 것이다. 아울러 공식 청문회와 별도로 김 후보 관련 의혹을 다룰 ‘국민 청문회’를 열겠다고 밝혔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돈이 없어 어쩔 수 없이 지인 11명에게 1억 원 넘게 빌렸다는 사람이 2억 원을 교회에 헌금하고 아들을 미국에 유학시킨다는 게 가능하냐"며 "명백하게 소명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염유섭 기자 yuseoby@hankookilbo.com
김민기 인턴 기자 alsrlsky@naver.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