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한국일보 언론사 이미지

급성 당뇨합병증 환자 후속 조치 없이 퇴근한 의사...금고형 집행유예

한국일보
원문보기

급성 당뇨합병증 환자 후속 조치 없이 퇴근한 의사...금고형 집행유예

속보
코레일, 집중호우로 열차 운행 일시 조정


법원 마크.

법원 마크.


급성 당뇨병 합병증 환자에게 적절한 후속 치료를 하지 않고 퇴근한 의사에게 금고형의 집행유예가 선고됐다.

17일 울산지법 형사4단독 임정윤 부장판사는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로 기소된 A씨에게 금고 8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고 밝혔다.

경남 한 병원의 내과 전문의인 A씨는 2021년 2월 구토와 호흡곤란 증세 등으로 내원한 환자 B씨를 진찰한 뒤 '당뇨병성 케톤산증(당뇨병의 급성 합병증)'으로 진단했다. 당시 B씨의 정맥혈 산도(pH 수치)는 7.14, 혈당 수치는 4=314mg/dl인 상태였다. 이런 경우 환자의 체온과 호흡, 혈압 등 활력 징후를 확인하면서 인슐린과 수액을 적절히 투여해야 한다.

특히, pH 수치가 7.0 이상인 환자에게 일반적으로 투여가 권고되지 않는 탄산수소염을 예외적으로 투여했을 경우에는 저혈당 또는 저칼륨혈증이 발생하지 않도록 혈당과 전해질을 자주 점검할 업무상 주의의무가 있다.

하지만 A씨는 B씨에게 2시간 20분 동안 탄화수소염을 20앰풀 투여하도록 저방한 후 전해질 추적 검사를 하지 않았다. 또, B씨처럼 중증도 당뇨병성 케톤산증 환자에게는 정맥주사를 통한 지속적인 인슐린 투여가 권고되는데, A씨는 피하주사 방식으로 인슐린을 투여하도록 지시한 후 퇴근했다.

이후 B씨는 인슐린 주사를 맞았는데도 혈당 수치가 상승했고, A씨는 별다른 조치를 하지 않았다. B씨에게 필요한 충분한 양의 수액도 처방하지 않았다. 결국 B씨는 구토, 목마름, 메스꺼움 등을 호소하다가 거의 하루 만에 다른 병원으로 이송됐으나 사망했다.


A씨는 재판 과정에서 환자 B씨가 처음으로 인슐린 처방을 받는 상황을 고려할 때 처방이 적절했고, 퇴근하면서 간호사들에게 B씨의 활력 징후를 지속적으로 확인하도록 지시했기 때문에 과실이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재판부는 A씨가 주치의로서 적극적으로 필요한 조치를 해야 했다는 취지로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재판부는 "피고인이 여러 조치를 했으나 임상의학 분야에서 실천되고 잇는 의료수준에서 일반적으로 의료인에게 요구되는 주의의무를 다했다고 인정할 수는 없다"며 "유족으로부터 용서받지 못했다"고 양형 이유를 밝혔다.

박은경 기자 change@hankook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