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과 김 여사는 16일(현지시간) 캐나다 캘거리의 한 호텔에서 열린 G7 초청국 환영 리셉션에 참석했다. 대니얼 스미스 캐나다 앨버타 주(州)수상이 주최한 행사의 드레스코드는 전통의상 또는 서양식 정장이었다. 김 여사는 연노란색 치마와 녹색 저고리의 한복을 갖춰 있고 참석했다. 이 대통령은 빨강, 파랑, 하양이 섞인 넥타이에 남색 정장을 입었다.
![]() |
이재명 대통령이 16일(현지시간)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캐나다 앨버타주 캘거리로 향하며 공군 1호기에서 김혜경 여사와 함께 기자간담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김혜경 여사도 함께 했다. 연합뉴스 |
대통령실 관계자는 “전통의상을 입은 분은 많지 않았던 것 같다. 눈에 띈 분 중엔 인도식 복장(터번)을 한 분이 계셨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많은 분이 (김 여사의 한복을) 주목했고, 사진을 찍기 위해 대통령 내외분 주변으로 접근하고, 사진 찍어달라는 분이 꽤 많았다”고 전했다.
이 행사는 G7 정상회의 초청국을 대상으로 열린 리셉션으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등 G7 회원국 정상들은 참석하지 않았다. 리셉션에 이어 메리 사이먼 캐나다 총독 내외가 주최하는 만찬도 열렸는데, 이 대통령 내외는 이 자리도 참석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 대통령 내외는) 리셉션과 만찬에서 여러 고위급 인사들하고 교유했다”고 말했다.
![]() |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참석하는 이재명 대통령이 16일(현지시간) 캐나다 앨버타주 캘거리국제공항에 도착해 김혜경 여사와 공군 1호기에서 내리고 있다. 연합뉴스 |
김 여사는 지난 16일 성남 서울공항에서 캐나다로 출국할 때도 눈에 띄었다. 김 여사는 민트색 계열의 정장 원피스를 입고 출국길에 올랐다. 전용기(공군 1호기)에 오르며 이 대통령 팔짱을 낀 모습도 주목을 받았다. 김 여사는 이 대통령이 전용기에서 즉석 기자간담회를 할 때도 옆에 서서 함께 했다.
김 여사는 6·3 대선 기간 눈에 띄지 않는 조용한 행보를 보였다. 이 대통령과 유세를 함께 하지 않았고, 사전 투표도 이 대통령은 서울 서대문구에서 했지만 김 여사는 부산 동구에서 따로 했다. 대선 기간 이 대통령 내외가 ‘투 샷’으로 함께 언론 카메라에 잡히는 일이 드물었다.
![]() |
그러나 지난 3일 밤 이 대통령 당선이 확실해지자 함께 인천 계양구 자택에서 나와 이 대통령이 소감을 밝힐 때 ‘투 샷’으로 잡혔다. 이 대통령 취임과 함께 김 여사는 영부인으로서 점차 보폭을 넓히고 있다. 김 여사는 순방 기간 G7 정상회의 의장국인 캐나다의 총리 배우자 다이애나 폭스카니가 주관하는 배우자 프로그램에도 참석하며 ‘영부인 외교’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윤성민 기자, 캘거리=오현석 기자 yoon.sungmin@joongang.co.kr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