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회 "정부 에너지 정책 변환, 송전선로 피해지역 대책 마련 등" 고려해야
![]() |
전북 부안군의회 청사 전경(부안군의회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
(부안=뉴스1) 박제철 기자 = 전북 부안군의회(의장 박병래)가 전북 서남권 해상풍력 공동접속설비 건설사업 송전선로 입지선정위원회의 일방적인 회의 진행에 반발하고 나서 차후 사업 추진에 갈등이 예고된다.
부안군의회는 16일 보도자료를 통해 "지난 12일 개최된 제5차 전북 서남권 해상풍력 공동접속설비 건설사업 송전선로 입지선정위원회의 일방적인 회의 강행에 대해 강한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부안군의회는 "입지 선정위원회 개최에 앞서 사전에 반대 입장과 함께 행정 절차상 요구사항 등이 반영되지 않은 회의는 참석할 수 없다는 입장을 전달했음에도 불구하고 위원회가 일방적으로 강행해 스스로 지역사회와 갈등을 유도했다"고 주장했다.
특히 의회 소속 위원들은 △주민 의견 수렴을 위한 충분한 설명회 개최 △이재명 정부 에너지 정책 방향 등 추이 고려 △송전선로 설치에 따른 지역 피해에 대한 면밀한 검토 및 대책 마련 등을 요청했으나 이 같은 요구는 반영되지 않은 채 절차가 강행됐다고 밝혔다.
![]() |
7일 오전 전북자치도청 앞에서 도내 8개 시군 주민들과 환경단체가 '송전탑건설백지화 전북대책위 출범식'을 위해 기자회견을 열었다.(뉴스1/DB) |
박병래 부안군의장은 "사업의 진행상황을 보면 사업주체인 한전은 자신들의 입장만이 최우선일 뿐 주민들의 의견에 대해서는 형식적인 대응과 최소한의 절차만 이행하는 모양새다"면서 "이런 상황에서 주민의 입장을 대변하고 중재역할에 나서야 할 전북도와 부안군은 그 어떤 역할도 하고 있지 않다는 것에 대해 심히 안타까움을 표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앞으로 부안군의회는 국가 전력망 건설사업에 있어 절차적 정당성과 공감대 형성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군민의 대의기관으로서 지역 주민들과 함께 적극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해상풍력 송전선로 건설 사업은 고창, 부안 해안권 해상풍력발전단지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수도권에 공급하기 위한 신정읍~신계룡 변전소 간 345kV 송전선로 약 115㎞ 구간에 송전탑 약 250기를 설치하는 사업이다.
특히 육상 접지점인 부안을 포함해 정읍, 고창, 부안, 김제, 완주 등 전북 주요 지역을 통과하는 송전탑 건립으로 해당 지역 주민과 갈등을 빚고 있다.
jcpark@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