뭉텅이 뒷돈 거래 후 공무원 간 갈등으로 국무조정실에 신고
시 전체 인쇄물 규모 수십억 원대 추정…'커미션 15%' 소문도
![]() |
경북 경주시 공무원의 이른바 '인쇄물 커미션' 비리가 드러나 경찰이 수사를 벌이고 있다. 사진은 경주시청 전경. / 경주시 |
[더팩트ㅣ경주=박진홍 기자] 최근 경북 경주시 공무원의 이른바 '인쇄물 커미션' 비리가 수면 위로 드러나 경찰이 수사를 벌이고 있다.
경주시에서는 수십 년 전부터 '인쇄물 뒷돈 수수설'이 공공연히 떠돌았는데, 이번 경찰 수사를 통해 조직적인 공무원 비리의 실체가 확인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16일 경북도 감사 결과와 경찰 등에 따르면 경주시 A실 B팀(6명)은 지난 2023년 모 인쇄업자로부터 부서 인쇄물을 맡긴 대가로 뒷돈 1500만 원을 받았다.
이들은 이 돈으로 외국 여행을 다녀오고, 주변에 선물을 사주기도 하고 일부는 개인적으로 사용한 것으로 의심을 받고 있다.
이 같은 내용은 공무원 간 갈등이 빚어지면서 C 씨가 국무조정실에 신고해 드러났다.
이후 국무조정실은 경북도청으로 신고 내용을 통보했고, 최근 경북도가 감사를 한 후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다.
문제는 경주시의 월간지와 계간지, 팸플릿, 관광 안내서 등 인쇄물 관련 비리가 A실 B팀에만 한정된 것이 아닐 가능성이 많다는 데 있다.
지역에서는 '인쇄업자의 상납 비리가 경주시 타 부서도 무관치 않을 것'이라는 의심의 눈길을 보내고 있다.
현재 경주시 본청 4실과 28과, 보건소와 기술센터, 각종 사업소, 22개 읍면동 등은 개별적으로 각종 인쇄물을 인쇄업자에게 맡기고 있다.
경주시의 인쇄물을 모두 합칠 경우 수주 금액이 수십억 원을 훌쩍 넘을 것으로 추정된다.
경주시 한 관변단체 관계자는 "인쇄물 커미션이 15% 수준이라는 소문이 많다"며 "이번 기회에 경주시 전체 인쇄물에 대한 철저한 점검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지역 일부에서는 "경찰의 관련 수사가 지지부진한 듯 하다"며 "올가을 APEC 개최를 이유로, 경주시 집행부가 경찰에 수사 연기를 요청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지역 정가의 한 인사는 "수사 지연은 '봐주기 수사'라는 오해를 받을 수 있다"면서 "국민의힘 소속 현 경주시장의 3선 측면지원이라는 민주당 측의 반발도 살 수 있다"고 지적했다.
경북도 관계자는 "요즘 인쇄물로 뭉텅이 커미션이 오가는 지자체는 경주시 외에는 우리 지역에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경주시정 전반에 대한 특별 감찰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경주시 관계자는 "지난 2022년과 2023년 전국 지자체 청렴도 조사에서 경주시가 2년 연속 1등급이었다"면서 "하지만 내년에는 전국 꼴찌로 추락할 것"이라고 곤혹스러워했다.
tk@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