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인경 기자] 북한은 제2차 세계대전 패전 80주년을 맞은 일본을 향해 “역사를 직시하고 과거를 청산하는 것은 전범국 일본의 회피할 수 없는 도의적 책임”이라며 제대로 된 사과를 하라고 요구했다.
16일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전날(15일) 북한 외무성 일본연구소장은 담화를 발표하고 “일본이 국제사회 면전에서 그 무슨 사죄외교의 종결을 운운”하고 있다며 “패망 80년을 어물쩍해 넘겨보려 하는 것은 일제의 만고죄악으로 영원히 아물 수 없는 상처를 안고 있는 우리 공화국과 아시아 인민들에 대한 용납할 수 없는 우롱”이라고 비난했다.
소장은 “현 일본수상(이시바 시게루 총리)이 어정쩡한 태도를 취하며 제2차 세계대전에 대한 검증을 거쳐 개인적인 견해를 발표하는 것으로 적당히 꿈 떼려 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16일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전날(15일) 북한 외무성 일본연구소장은 담화를 발표하고 “일본이 국제사회 면전에서 그 무슨 사죄외교의 종결을 운운”하고 있다며 “패망 80년을 어물쩍해 넘겨보려 하는 것은 일제의 만고죄악으로 영원히 아물 수 없는 상처를 안고 있는 우리 공화국과 아시아 인민들에 대한 용납할 수 없는 우롱”이라고 비난했다.
소장은 “현 일본수상(이시바 시게루 총리)이 어정쩡한 태도를 취하며 제2차 세계대전에 대한 검증을 거쳐 개인적인 견해를 발표하는 것으로 적당히 꿈 떼려 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소장은 “일본이 국제사회의 면전에서 그 무슨 ‘사죄 외교의 종결’을 운운하며 ‘전쟁 검증’이니, ‘평화 국가로서의 행적’이니 하는 따위의 침 발린 타령으로 패망 80년을 어물쩍해 넘겨보려 하는 것은 일제의 만고죄악으로 영원히 아물 수 없는 상처를 안고 있는 우리 공화국과 아시아 나라 인민들에 대한 용납할 수 없는 우롱이고 모독”이라면서 “국제적 정의와 양심에 대한 노골적인 도전”이라고 주장했다.
또 소장은 “역사는 먹으로 지울 수도 없고 불로 태울 수도 없으며 검으로 찢을 수도 없다”면서 “아무리 갖은 권모술수로 과거 죄행을 말소하고 그 책임에서 벗어나 보려고 모지름써도 침략자, 전범국의 역사는 후세토록 남아 있게 되어 있으며 특대형 반인륜 범죄에는 80년, 800년이 흘러도 시효란 있을 수 없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일본 언론들은 최근 이시바 총리의 올해 제2차 세계대전 패전 80주년 메시지가 기존 총리 담화 내용을 계승하는 수준이 될 것이라 보도한 바 있다. 아베 신조 전 총리의 10년 전 담화인 “더는 과거사를 반성하지 않는다”는 메시지가 담기는 수준이 될 것으로 관측된다.
![]() |
4월 17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도쿄 총리관저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AFP)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