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더팩트 언론사 이미지

거대여당 맞설 국힘 새 원내대표…선출 직후 마주할 과제는

더팩트
원문보기

거대여당 맞설 국힘 새 원내대표…선출 직후 마주할 과제는

속보
뉴욕증시, 트럼프 '추가 관세 인상' 예고에 하락 출발

내홍 수습·지도부 체제 결정·대여 협상 등
'신뢰 회복' 최우선이란 지적
당내서도 쇄신 이끌 인물 요구 목소리


국민의힘이 거대 여당을 상대할 새 원내사령탑 선출을 앞두고 있다. 누가 당선되더라도 대선 패배 이후 혼란에 빠진 당을 수습해야 한다는 막중한 과제가 기다리고 있다. /배정한 기자

국민의힘이 거대 여당을 상대할 새 원내사령탑 선출을 앞두고 있다. 누가 당선되더라도 대선 패배 이후 혼란에 빠진 당을 수습해야 한다는 막중한 과제가 기다리고 있다. /배정한 기자


[더팩트ㅣ국회=김수민 기자] 국민의힘이 거대 여당을 상대할 새 원내사령탑 선출을 앞두고 있다. 누가 당선되더라도 대선 패배 이후 혼란에 빠진 당을 수습해야 한다는 막중한 과제가 기다리고 있다. 소수 여당으로서 대여 공세를 위해 여론전에 기댈 수밖에 없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진정성 있는 쇄신'을 통해 국민을 설득하는 게 최우선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국민의힘은 지난 13일 원내대표 선출 선거일을 공고했다. 14일 후보 등록 신청을 받은 후 16일 의원총회에서 신임 원내대표를 선출할 예정이다. 4선 이헌승 의원과 3선 김성원·송언석 의원이 후보 등록하면서 3파전으로 확정됐다.

새로 뽑히는 원내대표는 '내홍 수습'이라는 풀기 어려운 과제를 안고 시작한다. 당은 6·3 대선 패배 이후 쇄신 방향을 논의하기는 커녕 대선 패배 주요 원인에 대한 의견도 하나로 모으지 못했다. 특히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이 제시한 탄핵 반대 당론 무효화와 후보 교체 사태 당무감사 등 개혁안을 두고 갈등이 심해지고 있다. 의원총회를 통해 계파 갈등이 노출됐을 뿐 아니라 의원총회 개최 여부를 놓고 원내 지도부와 김 위원장 사이 신경전까지 감지된 바 있다.

김 위원장의 거취 문제 논의도 이어가야 한다. 비대위원장직 임기는 오는 30일까지다. 김 위원장의 임기를 연장할지, 신임 원내대표가 당대표 권한대행을 같이 수행할지 또는 새로운 비대위원장을 지명할지 등 의원들과 논의해 지도 체제를 결정할 수 있다.

거대 여당을 상대로 주도권 싸움을 하고, 쟁점 법안을 놓고 협상해야 하는 숙제도 주어진다. 정부·여당을 견제해야 하는 제1야당의 원내대표이지만 압도적인 의석수를 가진 여당이 마음먹고 밀어붙인다면 이를 막을 제도적 수단이 없다. 이런 상황에서 무작정 부딪히고 반대하기보다는 합리적인 선에서 협상력으로 문제를 풀어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소수 여당으로서 대여 공세를 위해 여론전에 기댈 수밖에 없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진정성 있는 쇄신'을 통해 국민을 설득하는 게 최우선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배정한 기자

소수 여당으로서 대여 공세를 위해 여론전에 기댈 수밖에 없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진정성 있는 쇄신'을 통해 국민을 설득하는 게 최우선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배정한 기자


여론전 활용 능력이 중요한 이유이기도 하다. 입법 저지를 위한 '필리버스터'(무제한 토론)이나 규탄대회 등을 통해 국민들에게 정부여당의 부당함을 알리거나 압박 수위를 높여갈 수밖에 없다. 여당도 역풍을 우려해 마냥 밀어붙일 수 없는 상황을 만들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선 국민의힘의 '국민 신뢰 회복'이 선행돼야 한다는 게 정치권 중론이다. 양당 지지율 격차는 대선 이후 5년 내 최대 수준으로 벌어졌다. 한국갤럽이 지난 10~12일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1000명을 대상으로 정당 지지도를 조사한 결과 민주당은 46%, 국민의힘은 21%로 집계됐다. 중도층으로 범위를 좁히면 그 격차는 더욱 커진다.

김상일 정치평론가는 <더팩트>와의 통화에서 "수권정당이 될 수 있다는 희망은 국민 신뢰를 바탕으로 한다"라며 "국민의힘이 정부·여당의 견제 세력으로서 작동하고 있다는 방향성을 제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당내서도 '개혁과 통합'이 최우선 과제라는 고 강조하고 있다. TK(대구·경북) 지역의 한 의원은 "우리는 대선에서 망했다고 표현할 만큼 패배했다. 어떤 이유가 더 있겠나"라며 쇄신해야만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라고 꼬집었다. PK(부산·울산·경남) 지역 다른 의원은 전임 원내지도부를 겨냥해 "당의 쇄신을 가로막았다고 본다"라며 변화를 요구했다.


기사에 포함된 여론조사는 무작위 추출된 무선전화 가상번호에 전화 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다. 응답률은 14.9%이다.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 ±3.1%p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또는 한국갤럽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sum@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