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홍효식 |
기업 회생 절차를 진행 중인 홈플러스가 파산을 막기 위한 M&A(인수·합병) 추진을 공식화한 가운데 최대주주인 MBK 파트너스(이하 MBK)가 보유 주식에 대한 무상 소각 방침을 밝히면서 사실상 인수 후보군 지원에 나섰다.
1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MBK와 홈플러스는 지난 13일 회생법원에 인가 전 M&A 승인을 요청했다. 이르면 다음 주 결과를 통보받을 것으로 예측된다.
홈플러스 안팎에선 매각 가능성에 대한 상반된 시선이 공존한다. 성공 가능성을 높게 보는 쪽에선 홈플러스가 기업 매각을 위한 준비를 마쳤다고 보고 있다. 임대료 재협상 등 비용 절감에 속도를 내고 있는데다 MBK가 홈플러스 보통주 2조5000억원 어치를 전량 무상으로 소각하기로 하면서 몸이 가벼워졌다는 평가다.
실제 홈플러스는 법원의 보호 아래 현재 임대해 사용 중인 68개 매장 중 26개 매장의 연간 임대료 총액을 평균 33.6% 깎았다. 또 MBK가 보유한 구주를 소각하기로 하면서 새 주인이 신주 발행으로 마련한 자금을 기존 채권자들과의 채무상환이나 투자금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홈플러스는 전국에 58개의 점포를 소유하고 있는데 이를 포함한 자산가치는 6조8000억원으로 평가되고 있다. 반면 부채는 2조9000억원이다. 58개 점포 활용이 가능한데다 부채보다 4조원 가량 많은 자산이 매각에 플러스 요인이 될 수 있단 분석이다.
홈플러스 인수 후보군으론 농협과 GS, 쿠팡, 알리바바그룹 등이 거론된다. GS리테일은 편의점과 기업형슈퍼마켓(SSM)을 운영하고 있는 만큼 대형마트 인수를 통해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쿠팡은 전국의 홈플러스 매장을 활용해 이커머스(전자상거래)의 약점으로 평가받는 신선식품 분야를 강화할 수 있다. 신선식품의 경우 소비자들이 눈으로 직접 보고 사는 것을 선호하고 오프라인 매장 판매를 통해 유통기한이 짧은 재고 부담을 덜 수 있다.
알리익스프레스도 마찬가지다. 국내 이커머스 시장에서 사업 영역을 확장하면서 최근 신선식품까지 판매를 시작한 만큼 오프라인 매장이 필요하단 판단에서다. 오프라인 매장을 물류거점 등으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농협은 소도시 중심의 하나로마트의 한계를 대도시 중심 상권에 위치한 홈플러스 인수를 통해 보완할 수 있다. 과거 홈플러스 인수를 검토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럼에도 이들 기업은 홈플러스 인수 가능성에 대해 손을 내젓고 있다. 오프라인 유통 시장 규모가 점점 줄어들고 있고, 대형마트 시장 규모도 축소되는 상황에서 유통 공룡을 인수하기엔 부담이 크기 때문이다.
결국 관건은 매각가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홈플러스에 딸린 식구(임직원)가 1만9000여명에 달해 함부로 사업 방향을 바꾸거나 점포 하나 닫기도 쉽지 않다"면서 "부동산 가치만 보고 미래 비전없이 인수했을 경우 MBK처럼 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김민우 기자 minuk@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