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동아일보 언론사 이미지

전남 여수서 국내 첫 해상풍력 박람회 열린다

동아일보 정승호 기자
원문보기

전남 여수서 국내 첫 해상풍력 박람회 열린다

서울구름많음 / 27.0 °
국내 최대 규모의 민간 주도 해상풍력 프로젝트인 전남해상풍력 1단지가 전남 신안군 자은도 북서쪽 해상에서 지난달부터 상업운전을 시작했다. 전남도 제공

국내 최대 규모의 민간 주도 해상풍력 프로젝트인 전남해상풍력 1단지가 전남 신안군 자은도 북서쪽 해상에서 지난달부터 상업운전을 시작했다. 전남도 제공


‘해상풍력 메카’로 도약하고 있는 전남에서 국내 최초로 해상풍력 박람회가 열린다. 전라남도는 해상풍력 박람회를 통해 해상풍력 산업 육성 비전을 국내외에 알릴 계획이다.

전남도는 오는 18~19일 전남 여수 엑스포홀에서 해상풍력 산업 박람회를 개최한다. 박람회 주제는 ‘세계 해상풍력 허브로의 담대한 도전’이다. 박람회를 통해 대한민국 에너지 미래를 이끌고 있는 전남의 저력을 보여주겠다는 것이다. 박람회에는 김영록 전남도지사와 국회의원, 발전사·기자재 업체, 시군 관계자 등 100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이번 박람회에는 발전사 30여 곳과 현대스틸산업, 비에스한양, ㈜유일 등 해상풍력발전 기자재 업체 30여 곳이 참여한다. 전남도가 박람회를 여수에서 개최하는 이유는 여수·고흥 등 전남 동부권을 해상풍력의 또 다른 거점으로 육성하겠다는 의지를 반영한 것이다. 전남도는 이번 박람회에서 전남 동부권 해상풍력 발전 규모를 13기가와트(GW)까지 확대하는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전남 도내 발전사가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허가받은 해상풍력 발전 규모는 여수·고흥 5GW를 포함해 총 18.7GW에 이른다.

박람회에서는 기자재 공급망 구축, 에너지 기본소득, 해상풍력 산업 교육센터 설립·운영에 관한 업무협약식도 열린다. 발전사별 프로젝트 현황과 공급망 참여 방안, 동부권 공공주도 단지 개발 계획도 발표할 예정이다. 내년 3월부터 시행되는 해상풍력특별법에 따라 해상풍력단지 공공주도 개발이 가능해짐에 따라, 정부 주도의 단지 개발과 발전사 공모 방식 등을 설명할 계획이다.

해상풍력 산업은 최근 2~3년간 글로벌 경기 침체와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다소 주춤했으나, 올해 해상풍력특별법이 제정되고 전남 신안에 3.2GW 규모의 해상풍력 집적화 단지가 지정되면서 새로운 전기를 맞고 있다.

강상구 전남도 에너지산업국장은 “전남은 해상풍력 잠재량 전국 1위, 발전사업 진행 속도도 가장 빠른 선도 지역”이라며 “이번 박람회는 전남이 글로벌 해상풍력 허브로 도약하는 야심 찬 프로젝트를 보여주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남은 풍속이 초당 7.2m로 일정하고, 수심이 40m 미만으로 얕아 해상풍력 발전에 가장 적합한 지역으로 꼽힌다. 전남의 해상풍력 잠재량은 125GW로, 전국 386.5GW 중 약 32%를 차지한다. 전남도는 2035년까지 도내에 30GW 규모의 해상풍력 발전 단지를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국내 최대 규모의 민간 주도 해상풍력 프로젝트인 ‘전남해상풍력 1단지’는 지난달 상업운전에 들어갔다. 전남 신안군 자은도 북서쪽 공유수면에 위치한 이 단지는 SK이노베이션 E&S가 운영하는 고정식 해상풍력 발전 단지로, 총 발전용량은 96메가와트(MW)다. 풍력발전기 10기(1기당 9.6MW)는 연간 약 3억107만kWh의 전기를 생산해 약 9만 가구가 1년간 사용할 수 있는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동일한 전력을 석탄화력발전으로 생산할 경우와 비교하면 연간 약 24만 톤의 탄소 저감 효과가 기대된다.

이어 영광 낙월(354MW, 2026년 하반기), 신안 우이(390MW, 2028년 상반기), 완도 금일(600MW, 2028년 하반기), 영광 안마(528MW, 2028년 하반기) 등도 순차적으로 준공될 예정이다.

정승호 기자 shjung@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