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층 지지 업고 성장세…한 달간 당원 3만3000명 ↑
전국정당 도약 시험대…이준석 당대표 거론 속 확장성 논란 여전
![]() |
6·3 대선을 완주한 개혁신당이 본격적인 체제 정비에 돌입했다. 개혁신당은 대선 과정에서 당원이 급증하고 기대 이상의 지지율을 거뒀다며 대선 결과를 자축하는 분위기다. 다만 지금의 열기가 장기적 동력으로 연결되지 못한다면 '반짝 효과'에 그칠 수 있다는 당내 분위기도 감지된다. /뉴시스 |
[더팩트ㅣ국회=서다빈 기자] 6·3 대선을 완주한 개혁신당이 본격적인 체제 정비에 돌입했다. 개혁신당은 대선 과정에서 당원이 급증하고 기대 이상의 지지율을 거뒀다며 대선 결과를 자축하는 분위기다. 다만 지금의 열기가 장기적 동력으로 연결되지 못한다면 '반짝 효과'에 그칠 수 있다는 당내 분위기도 감지된다.
개혁신당은 오는 7월 전당대회를 시작으로 새 지도부를 출범할 계획이다. 전당대회준비위원장은 김철근 사무총장이 맡고, 각 시·도당 위원장들이 위원으로 참여한다. 천하람 당대표 겸 원내대표는 지난 12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빠르면 7월 초 전당대회를 치를 수 있을 것"이라며 "선거가 끝나 상임선거대책위원회가 해체된 만큼, 당 지도부 체계를 조속히 정상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개혁신당은 대선을 계기로 당원 수가 급증했다. 2030세대 남성들을 중심으로 한 지지세가 당 지지력 확대로 이어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개혁신당 관계자에 따르면 현재 당원 수는 전날 오후 6시 기준 12만7055명이다. 대선 첫 유세(5월 13일) 당시 9만3852명에서 선거 기간 동안 약 3만3203명이 늘며 급격한 증가세를 기록했다. 특히 2030세대를 중심으로 한 지지 확장이 두드러졌다는 점에서 '짧은 기간에 이룬 큰 성장'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당 내부에서는 자찬보다는 갑작스런 증가세를 경계해야 한다는 신중론도 대두된다. 대부분의 선거가 소선구제 1인 선출 방식인 만큼, 전국 단위 정당으로 뿌리내리기 위한 조직 확장이 필수라는 것이다.
청년층 지지율이 집중된 만큼, 이를 어떻게 유지하고 다른 연령대로 확장할지가 향후 과제가 될 전망이다. 개혁신당은 우선 2030 지지층을 '고정 지지층'으로 확보한 뒤, 중장년층 공략을 위한 정책 메시지 보완에 나선다는 전략이다.
![]() |
이 가운데 이준석 의원의 당 대표 출마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다만 대선 3차 TV토론에서의 '젓가락' 발언으로 적지 않은 유권자들이 이 의원에 대해 거부감을 드러내면서 외연 확장에 제동이 걸릴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박헌우 기자 |
장기적 관점을 위해 당에서도 청년 지지세를 굳히려는 움직임도 보인다. 지난 10일 이준석 의원 등 당 관계자들은 성균관대 이공계 캠퍼스에 대학생 당원 모집 현수막을 게시했다. 이와 함께 전국 대학을 대상으로 조직 확대를 추진 중이다.
천 원내대표는 "2030 세대에서 유독 높은 지지를 받은 것은 당 규모 대비 과분할 수도 있다"며 "이 지지율을 지켜내는 동시에 정책 메시지를 재정비해 중장년층에게도 체계적으로 전달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다음 해로 예정된 지방선거를 앞두고 개혁신당은 청년위원회를 주축으로 지역 지지세를 늘릴 전망이다. 이 의원 개인을 향한 지지세를 넘어 청년 지지를 기반으로 한 전국 정당으로 도약하겠다는 구상이다. 천 원내대표는 "지도부 체계를 하루빨리 정상화해야 한다"며 "구체적인 사항은 전당대회 준비위원회에서 논의해 확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가운데 이준석 의원의 당 대표 출마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다만 대선 3차 TV토론에서의 '젓가락' 발언으로 적지 않은 유권자들이 이 의원에 대해 거부감을 드러내면서 외연 확장에 제동이 걸릴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토론회 발언으로 촉발된 이 의원의 의원직 제명 청원은 공개 9일 만에 55만 명 이상의 동의를 얻었다.
정치권에서는 개혁신당이 외연 확장을 지속하기 위해서라도 이 같은 논란을 짚고 넘어가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이 의원 개인의 논란이 당 전체의 이미지로 확산될 경우, 외연 확장은 물론 지방선거 전략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더팩트>와의 통화에서 "이 의원이 새로운 변화를 모색한다고 해도 (지금은) 국민들로부터 박수를 받을 가능성이 거의 없다"며 "정면 돌파를 하겠다면 이 의원은 철저하게 진정성 있는 사과로 국민 앞에 나서는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bongouss@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