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한영 기자]
국방과 첨단산업이 결합된 국내 최대 규모의 방산 행사인 '2025 대한민국 국방산업발전대전'이 오는 18~20일까지 3일간 대전컨벤션센터(DCC)에서 열린다.
방위산업의 미래를 선도할 핵심 기술과 전략을 한자리에서 공유하며, 대전시를 'K-방산수도'로 부각시키기 위한 다층적 행보다.
K-방산수도 대전, 미래 첨단국방기술 중심에 서다 홍보 이미지 |
국방과 첨단산업이 결합된 국내 최대 규모의 방산 행사인 '2025 대한민국 국방산업발전대전'이 오는 18~20일까지 3일간 대전컨벤션센터(DCC)에서 열린다.
방위산업의 미래를 선도할 핵심 기술과 전략을 한자리에서 공유하며, 대전시를 'K-방산수도'로 부각시키기 위한 다층적 행보다.
국방부, 방위사업청, 육군 교육사령부를 포함한 군 주요 기관과 국내외 방산기업, 국책연구소, 전문가들이 대거 참여하며, 글로벌 협력과 수출을 위한 교류의 장으로 마련됐다.
전시에는 178개 기업이 참가해 395개 부스를 운영하고, AI 기반 국방 시스템, 디지털전환(DX), 사이버 방어, MRO(Maintenance, Repair, Overhaul) 분야의 혁신 기술이 다채롭게 소개된다.
드론특별전, 수출상담회, 시연행사 등 대규모 프로그램이 병행되며, 주한 외국군 관계자와 해외 대사관 인사 등 3만여 명의 관람객이 현장을 찾을 것으로 전망된다.
눈길을 끄는 드론특화 전시존에서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 LIG넥스원, 현대로템, KAI 등 대형 방산업체뿐만 아니라 두시텍, 두타기술 등 지역 기반 강소기업들이 자사의 기술력을 공개한다.
정찰, 타격, 감시용 드론을 비롯해 자율비행, AI 분석 기반의 드론 체계까지, 차세대 무인 전력 플랫폼이 다양하게 전시된다.
육군 교육사령부는 드론봇 전투체계 전시관을 통해 다족형 로봇, 대형 UAV, 정밀타격 드론 등 미래 전장의 실질적 전력 자산을 선보이고, 관람객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가상 전투 체험존도 마련해 눈길을 끌 예정이다.
한국전자기술연구원은 경기 화성과 경북 김천에 배치된 공격드론을 실시간 원격 조종하는 '실전형 드론작전 시연'을 선보이며, 국산 무기체계의 전장 적용 능력과 정밀 조종기술을 강조할 계획이다.
학술 프로그램도 다양하게 편성돼 있다. 'AI 기반 유무인 복합체계(MUM-T) 국제컨퍼런스'를 중심으로, 미래 항법기술, 민군 융합형 해양MRO, 지상전력·지휘통제 전투체계 등 30여 개 세미나와 포럼이 연이어 열린다. 독일 헬무트 슈미트 대학교의 헤이코 보체트 교수와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육군 교육사령부 관계자 등이 참여해 AI와 무기체계 융합의 전략적 방향을 심도 있게 논의한다.
충남대학교가 주관하고 방위사업청이 공동 참여하는 '방위산업 혁신과 수출진흥 컨퍼런스'에서는 무기체계 소요기획과 획득 구조의 개선, 민간 기업과의 협업 확대 방안 등이 논의되며, 국내 방산업계의 글로벌 도약을 위한 실질적 제언이 오갈 예정이다.
이 외에도 국방기술품질원의 DQ마크 인증 제품 특별전, 육군과 기업 간 1대 1 매칭 간담회, 절충교역 기업 설명회, 해외 수출상담회 등 실질적인 비즈니스 연계 프로그램도 마련돼 참가 기업들의 판로 확보에 실질적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유득원 행정부시장은 "이번 행사는 첨단기술과 국방력이 융합하는 전략적 플랫폼으로, 대전이 미래산업과 방위산업의 교차점에 선 도시임을 전 세계에 각인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국방 기술의 상용화, 민군 협력의 강화, 수출 경쟁력 확보를 통해 세계 방산산업의 흐름을 이끄는 선도 도시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이한영기자
<저작권자 Copyright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