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권여당 첫 원대대표 "李 성공 뒷받침"
지난 총선에서 '이재명 체제' 확립에 기여
국정과제 첫 기틀 마련 숙제 떠안아
김병기(64·서울 동작갑) 의원이 13일 이재명 정부 출범으로 집권여당이 된 더불어민주당의 첫 원내사령탑에 선출됐다. 김 원내대표는 이재명 정부의 조기 안착을 돕고, '내란 종식·민생 회복·국민 통합'이라는 3대 국정과제 완수를 위한 첫 기틀을 마련해야 하는 과제를 떠안았다. 동시에 거대여당으로서 책임 있는 국정운영을 위해 야당을 설득해야 하는 만만치 않은 숙제 역시 부여됐다. 대통령실과 정부에 보조를 맞추면서도, 끌려다니지 않는 수평적 당정관계를 어떻게 설정하느냐를 두고도 시험대에 섰다.
김 원내대표는 이날 당선 소감에서 "압도적 과반 집권여당의 첫 원내대표로서 부끄럽지 않게 임무를 수행하겠다"며 "이재명 정부의 성공을 뒷받침하고 대한민국 재건에 저의 모든 것을 바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이번 원내대표 선거는 처음으로 권리당원 투표가 20% 반영됐지만, 당 선관위는 후보자별 득표수를 공개하지 않았다.
김 원내대표는 대표적인 친이재명(친명)계 인사로 평가받는다. 지난 20대 대선에서는 이재명 후보의 선대위 현안대응 태스크포스(TF) 단장을 맡았고, 직전 22대 총선에서는 당 공천관리위원회 간사를 맡아 '이재명 체제'를 확립하는 공을 세웠다. 정치 입문 전에는 26년간 국가정보원에 몸담으며 인사처장까지 올랐다. 김 원내대표는 지난 4일 페이스북을 통해 "국정원에서 대한민국을 위해 음지에서 일했던 것처럼, 당과 이재명 대표를 위해서 블랙요원처럼 일했다"고 강조했다.
지난 총선에서 '이재명 체제' 확립에 기여
국정과제 첫 기틀 마련 숙제 떠안아
![]() |
더불어민주당 차기 원내대표로 선출된 김병기 의원이 1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2기 원내대표 선출 의원총회에서 당선된 뒤 기뻐하고 있다. 하상윤 기자 |
김병기(64·서울 동작갑) 의원이 13일 이재명 정부 출범으로 집권여당이 된 더불어민주당의 첫 원내사령탑에 선출됐다. 김 원내대표는 이재명 정부의 조기 안착을 돕고, '내란 종식·민생 회복·국민 통합'이라는 3대 국정과제 완수를 위한 첫 기틀을 마련해야 하는 과제를 떠안았다. 동시에 거대여당으로서 책임 있는 국정운영을 위해 야당을 설득해야 하는 만만치 않은 숙제 역시 부여됐다. 대통령실과 정부에 보조를 맞추면서도, 끌려다니지 않는 수평적 당정관계를 어떻게 설정하느냐를 두고도 시험대에 섰다.
김 원내대표는 이날 당선 소감에서 "압도적 과반 집권여당의 첫 원내대표로서 부끄럽지 않게 임무를 수행하겠다"며 "이재명 정부의 성공을 뒷받침하고 대한민국 재건에 저의 모든 것을 바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이번 원내대표 선거는 처음으로 권리당원 투표가 20% 반영됐지만, 당 선관위는 후보자별 득표수를 공개하지 않았다.
김 원내대표는 대표적인 친이재명(친명)계 인사로 평가받는다. 지난 20대 대선에서는 이재명 후보의 선대위 현안대응 태스크포스(TF) 단장을 맡았고, 직전 22대 총선에서는 당 공천관리위원회 간사를 맡아 '이재명 체제'를 확립하는 공을 세웠다. 정치 입문 전에는 26년간 국가정보원에 몸담으며 인사처장까지 올랐다. 김 원내대표는 지난 4일 페이스북을 통해 "국정원에서 대한민국을 위해 음지에서 일했던 것처럼, 당과 이재명 대표를 위해서 블랙요원처럼 일했다"고 강조했다.
![]() |
김병기 신임 원내대표가 1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2기 원내대표 선출 의원총회에서 당선된 뒤 기뻐하고 있다. 공동취재 |
김 원내대표에게 주어진 가장 시급한 과제는 민생 회복이다. 당장 정부가 제출할 추가경정예산(추경)안 처리를 놓고 야당과 협상을 벌여야 한다. 앞서 선거기간 중 김 원내대표는 "문재인 정부 때 가장 빠르게 통과된 추경안이 12일"이라며 "(저는) 이를 넘기지 않도록 하겠다"고 속도전을 예고했다. 적자국채 발행 우려에 대해선 "국가가 빚을 내서 국민이 잠시라도 숨을 쉴 수 있다면 그건 마땅하다"고 강조했다.
대선 기간 약속한 각종 개혁 과제들도 산적해있다. 직전 박찬대 원내지도부가 차기 지도부에 공을 넘긴 △대법관 증원법 △대통령 재판중지법 △방송 3법(방송법·방송문화진흥회법·한국교육방송공사법 개정안) 처리는 기본이고 △상법 개정안 △검찰·사법 개혁 △노란봉투법 △양곡관리법 등 이해관계가 첨예한 쟁점 법안들도 산더미다. 한 전직 민주당 원내대표는 "현실적으로 모든 국정과제를 다 할 수 없다"며 "반드시 해야 하는 것, 할 수 있는 것, 할 수 없는 것으로 우선순위를 설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가장 큰 숙제는 대야 관계다. 일단 민주당이 압도적 다수 의석을 차지하고 있는 만큼 이론상 야당 없이도 마음만 먹으면 법안 통과는 가능한 상황이다. 그러나 여당의 일방처리가 계속될 경우, 지난 윤석열 정부 때처럼 여야 간 극단적 대립이 지속될 수 있다. 소수 야당과의 협치 없이 밀어붙여 역풍을 사면, 정권 초반부터 민심의 반발에 부딪힐 수 있다. 이재명 대통령도 야당을 '국정운영의 동반자'로 존중한다는 입장을 밝힌 만큼, 여야 정책 상설협의체 등을 구성해 국회 운영에 나서야 한다는 조언이 나온다. 당장 김 원내대표는 협상할 수 있는 것과 타협할 수 없는 것을 분리 대응하겠다는 뜻을 밝혀온 만큼, 원칙과 실리 사이에서 강온 전략을 펼 것이란 관측이다.
당정관계도 신경 써야 하는 지점이다. 대통령실에서 원내 지도부의 협상권을 존중하지 않을 경우, 여당의 역할이 '거수기'로 제한될 우려도 있다. 대통령실과 정부에 끌려다니기만 할 경우 여당의 존재감은 줄어들 수밖에 없다. 집권여당이 야당과의 협상력을 지렛대로 삼아 향후 국정운영에서도 건강한 비판과 견제를 전달하는 역할에 나서야 한다는 주문이다. 한 친명계 중진은 "윤석열 정부처럼 해서는 결코 안 된다"며 "야당을 협상 파트너로 생각하고 존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정현 기자 virtu@hankookilbo.com
곽주은 인턴 기자 jueun1229@sookmyung.ac.kr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