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300]
![]() |
문재인 전 대통령이 제21대 대통령선거 사전투표 첫날인 지난달 29일 오전 경남 양산시 하북면주민자치센터에 마련된 하북면 사전투표소에서 투표를 마친 뒤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사진=뉴스1 |
문재인 전 대통령이 "이재명 정부는 파탄이 난 남북 관계를 복원하고 한반도 평화의 길을 다시 개척할 것이라 믿는다"고 밝혔다.
박능후 포럼 사의재 상임대표는 1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6·15 남북공동선언 25주년 학술회의 및 '민주정부 한반도평화 계승발전협의회' 발족식에 참석해 문 전 대통령의 축사를 대독했다.
문 전 대통령은 이날 김대중 정부 시절 이뤄진 6·15 남북공동선언을 강조했다. 그는 "(6·15 남북공동선언은) 김 전 대통령이 우리에게 남긴 위대한 유산 중에서도 손꼽히는 업적"이라며 "전쟁과 대립이 아닌 평화와 협력으로 남북 관계를 근본적으로 전환한 민족사적 사건"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6·15 공동선언으로 남북은 화해하고 협력하며 함께 잘 살 수 있다는 꿈을 가지게 됐다"며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도, 평화와 경제라는 비전도 모두 6·15 공동선언에서 본격적으로 시작됐다"고 했다.
또 "북한의 잇따른 도발과 핵개발 의혹으로 한반도 긴장이 고조되던 상황에서 위기를 기회로 만들고 한반도 문제의 주인은 우리 자신이라는 것을 세계인들에게 보여줬다"며 "김대중 정부의 남북 화해 협력 정책 이른바 '햇볕 정책'은 노무현 정부의 평화 번영 정책, 문재인 정부의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로 이어달리기 하며 남북 관계 발전, 한반도 평화, 상생 번영의 길로 나아갔다"고 했다.
문 전 대통령은 이날 윤석열 정부의 남북정책에 대해서는 비판했다. 그는 "남북 관계는 회복하기 어려울 정도로 망가졌고 한반도는 6.25 전쟁 이후 가장 위험한 상황에 놓이게 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중 간의 패권경쟁과 신냉전의 먹구름으로 한반도 둘러싼 국제 질서는 불안정 격랑 속에 빠졌고 북한의 핵과 미사일은 고도화됐다"며 "이재명 정부는 이 엄중한 상황을 타개하고 새로운 평화의 시대를 열어야 할 막중한 책무를 가지게 됐다"고 했다.
문 전 대통령은 이재명 정부에서는 새로운 해법이 필요하다고 했다. 그는 "역대 민주당 정부의 성과를 이어받고 더욱 발전시켜 한반도 평화에 큰 진전을 일굴 것"이라며 "그것이 김대중 정신을 되살리고 진정으로 민주당 정부를 계승하는 일이다. 하지만 그 과정이 순탄하지만은 않을 것이다.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해서라도 고차방정식의 새로운 해법이 모색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지은 기자 running7@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