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머니투데이 언론사 이미지

2조 국가AI컴퓨팅센터 재공고에도 '유찰'... "사업방향 재논의"

머니투데이 황국상기자
원문보기

2조 국가AI컴퓨팅센터 재공고에도 '유찰'... "사업방향 재논의"

서울흐림 / 28.1 °
2조 규모 국가AI(인공지능) 컴퓨팅센터 프로젝트가 또 다시 유찰됐다. 지난달 말 한 차례 민간 참여 없이 유찰된 후 재공고가 진행됐음에도 민간의 반응은 냉담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2일부터 13일 오후 5시까지 진행한 국가AI컴퓨팅센터 구축 사업 재공고가 민간 컨소시엄 참여 없이 유찰됐다고 13일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산업통상자원부 등 관계 부처와 향후 사업 추진 방향을 논의할 계획"이라고 했다.

지난 1월 나온 사업 공고에 따르면 국가AI컴퓨팅센터 구축·운용 사업은 민간·공공 출자금 4000억원으로 설립될 SPC(특수목적법인)에 의해 추진된다. 또 △SPC는 정부 지분 51%, 민간 지분 49%로 구성되고 △2030년까지 국산 AI 반도체 비중이 50%에 달해야 하며 △대학·연구소, 중소·스타트업 기업 등을 상대로 저렴하게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지난달 30일까지 진행된 입찰에서 민간 참여사들이 한 곳도 없었고 이에 과기정통부는 이달 들어 재공고를 실시했지만 민간 참여를 유도해내지 못했다. 앞서 공고된 내용의 변경도 없는 등 민간에서 우려하는 사항들이 해소되지 않았던 점이 민간 기업들의 발목을 잡았다는 평가다.

민간에서는 '정부 지분 51%' 부분에 대한 우려가 제일 컸다. 정부 입김이 지속되면 민간 자율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점 때문이다. 정부가 얼마의 수요를 책임져 줄 수 있는지에 대한 자료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한 데 대한 불만도 있다. 대규모 자금이 투입되는 프로젝트이지만 출자금(4000억원)을 제외하고 나머지 비용은 정책금융 등의 외부 자금을 끌여들여야 하는데 사업성이 불투명하다는 것이다.

국산NPU(신경망처리장치) 비중 50% 요건도 우려 요소였다. 외산 AI반도체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면서 국산AI반도체 산업을 육성하려는 정책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민간이 감내해야 할 불확실성이 크다는 목소리들이 나왔다.


과기정통부는 국가AI컴퓨팅센터 사업과 별도로 올해 확보된 추가경정예산 중 1조4600억원을 첨단 GPU(그래픽 처리장치, 엔비디아 B200) 1만장 확충을 추진 중이다. 당초 국가AI컴퓨팅센터 사업에 참여하는 CSP(클라우드 인프라 사업자)에 GPU 1만장 확보 사업도 맡긴다는 계획이었지만 이번 재유찰로 GPU 1만장 확보 프로젝트는 별도로 추진된다.

황국상 기자 gshwang@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