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검 대상 기처분됐거나 수사기관 수사중 사안
자료 넘겨 받은 뒤 미진했던 부분들 중심될 듯
내란특검은 국무위원·국힘 지도부 등 수사 대상
김건희 특검, 관련의혹 전면재수사 불가피 전망
자료 넘겨 받은 뒤 미진했던 부분들 중심될 듯
내란특검은 국무위원·국힘 지도부 등 수사 대상
김건희 특검, 관련의혹 전면재수사 불가피 전망
[이데일리 송승현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이른바 ‘3대 특검’을 지휘할 특별검사에 조은석 전 감사원장 권한대행, 민중기 전 서울중앙지법원장, 이명현 전 국방부 검찰단 고등검찰부장을 각각 임명했다. 3대 특검이 기존 수사기관에서 이미 처분이 이뤄졌거나 수사가 진행돼 온 만큼 특검은 수사기관의 자료를 받은 뒤 미진한 부분에 대해 수사력을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13일 법조계 등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전날 오후 11시 9분께 3대 특검을 지휘할 특별검사에 조은석·민중기·이명헌 등을 지명했다. 내란 특검은 조 전 권한대행이, 김건희 특검에는 민 전 법원장이, 해병대 채상병 특검은 이 전 부장이 각각 맡을 예정이다.
이들 특검은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검찰, 국가수사본부 등 수사기관에서 관련 혐의에 대한 처분이 이뤄졌거나, 수사가 상당 부분 진척이 된 상황이다. 내란과 김건희 특검은 준비기간을 포함해 최장 170일, 채해병 특검이 최장 140일 운영된다. 특검은 수사기관을 통해 기존 수사자료를 살펴본 뒤 수사가 미진했거나 이뤄지지 않았던 부분에 대해 집중할 것으로 관측된다.
![]() |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12일 내란 특검으로 조은석(왼쪽부터) 전 감사원장 권한대행을, 김건희 특검으로 민중기 전 서울중앙지방법원장을, 채해병 특검으로 이명현 전 국방부 검찰단 고등검찰부장을 지명했다고 더불어민주당이 13일 발표했다. (사진=뉴스1) |
13일 법조계 등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전날 오후 11시 9분께 3대 특검을 지휘할 특별검사에 조은석·민중기·이명헌 등을 지명했다. 내란 특검은 조 전 권한대행이, 김건희 특검에는 민 전 법원장이, 해병대 채상병 특검은 이 전 부장이 각각 맡을 예정이다.
이들 특검은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검찰, 국가수사본부 등 수사기관에서 관련 혐의에 대한 처분이 이뤄졌거나, 수사가 상당 부분 진척이 된 상황이다. 내란과 김건희 특검은 준비기간을 포함해 최장 170일, 채해병 특검이 최장 140일 운영된다. 특검은 수사기관을 통해 기존 수사자료를 살펴본 뒤 수사가 미진했거나 이뤄지지 않았던 부분에 대해 집중할 것으로 관측된다.
내란 특검, 외환죄·국무위원·국힘 지도부 수사 핵심
조 전 권한대행이 지휘하게 될 내란 특검은 12·3 비상계엄을 통한 내란과 외환죄, 계엄 관련 증거인멸 또는 증거인멸교사, 재판 및 수사 방해 등 11개 혐의를 수사하게 된다.
내란 관련 혐의는 공수처와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 경찰 국수본 비상계엄 특별수사단 등이 수사한 결과 이미 재판이 진행 중이다. 내란 수괴 혐의로 기소된 윤석열 전 대통령을 비롯해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조지호 경찰청장 △김봉식 전 서울경찰청장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 등에 대한 1심 재판이 진행 중에 있다.
이에 따라 내란 특검에서는 그동안 다뤄지지 않았던 사건 중심으로 수사가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대표적으로 외환죄가 있다. 윤 전 대통령은 정국을 타개하기 위해 북한과의 전쟁을 유발하려고 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아울러 비상계엄 선포 전 소집된 국무회의에 참여한 국무위원들에 대한 수사도 본격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한덕수 전 국무총리, 최상목 전 경제부총리(기획재정부 장관),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 등은 내란 동조 혐의로 현재 경찰 수사 중에 있다. 이밖에도 국민의힘 지도부가 국회의 비상계엄 해제 의결을 방해했다는 의혹도 수사대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 |
김건희 특검으로 지명된 민중기 전 서울중앙지방법원장이 13일 서울 서초동 사무실에서 나오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김건희 특검, 공천개입 관련 국민의힘 수사 대상 될 수도
김건희 특검 역시 검찰의 처분이 이뤄졌거나, 수사가 미진해 재수사가 진행되고 있다. 김건희 특검법에 따르면 수사 대상은 주가조작부터 명품가방 수수, 공천개입까지 총 16개 항목에 달한다. 명품가방 사건과 도이치모터스(067990) 주가조작 의혹은 검찰이 한 차례 불기소 처분한 만큼 대대적인 재수사가 불가피하다. 특히 명품가방 수수 사건은 전면 재수사가 예고돼 있다.
서울고검이 주가조작 의혹 재수사를 진행했던 만큼 관련 기록을 받아본 뒤 참고인 등을 줄줄이 소환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서울고검은 주가조작 의혹과 관련해 김 여사 계좌를 관리한 블랙펄인베스트 임원 민모 씨와 2차 주가 조작에 연루돼 유죄가 확정된 2차 주포 김모 씨를 각각 참고인 신분으로 조사했다. 여기에 핵심 인물인 권오수 전 도이치모터스 회장과 주가조작 공범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먼트 대표 등은 검찰 조사에 불응한 만큼 이들에 대한 조사는 특검에서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공천개입과 건진법사 의혹 등은 현재 검찰의 조사가 진행 중이다. 대부분 사안을 수사한 뒤 막판 김 여사 소환만 남았지만, 특검으로 공이 넘어간 만큼 김 여사에 대한 소환은 특검에서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공천개입 의혹 수사에서 국민의힘이 연루돼 있다면 관련 의원들에 대한 수사로까지 확대될 가능성도 있다.
![]() |
순직 해병 수사 방해 의혹 사건을 수사할 이명현 특별검사가 13일 서울 서초동 사무실에서 취재진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채해병 특검, VIP 격노설과 임성근 구명로비 등 집중할 듯
채해병 특검은 전·현직 국방부 관계자와 전 정권 고위 관료들에 대한 대대적 수사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공수처는 이 사안과 관련해 최근 수사를 재개했지만, 수사의 칼날이 윤 전 대통령에까지 향하지는 않은 상태다.
이 특검은 채해병 순직사고 수사에 대한 외압이 있었는지, 외압은 어디에서 비롯됐는지를 규명하는 데 집중할 것으로 풀이된다. 대표적으로 수사 외압 행사의 시작점이란 의혹이 제기된 이른바 ‘VIP 격노설’과 ‘임성근 구명로비’가 핵심으로 거론된다.
VIP격노설이란 대통령실에서 채해병 순직사건 관련 보고를 받은 윤 전 대통령(VIP)이 격노하며 국방부 장관에게 즉각적으로 조치를 지시했다는 의혹을 말한다. 이 사안에 대해 공수처는 최근 대통령기록관에 대한 압수수색을 진행한 바 있다. 또 구명로비와 관련해서 공수처는 임성근 전 사단장의 휴대전화 포렌식을 진행한 뒤 관련 자료를 분석 중인 상태였다.
다만 공수처의 수사는 비상계엄 이후 인력부족으로 윗선까지 가지 않은 만큼 채해병 특검을 통해 의혹에 대한 실체 규명이 이뤄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