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식에 제공된 빵류를 먹고 식중독에 걸린 사례가 충북에 이어 세종과 전북 부안에서도 확인됐다. 현재까지 전국에서 유증상자는 208명에 달한다.
질병관리청은 13일, 빵 섭취로 인한 살모넬라 감염증 집단 발생 사례가 총 4건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유증상자는 청주 120명, 진천 35명, 세종 18명, 부안 35명으로 집계됐다.
이번 식중독은 지난달 15일 충북 청주와 진천의 급식소에서 시작됐다. 환자와 음식에서 동일한 유전형의 살모넬라균이 검출됐다. 이후 세종과 부안 급식소에서도 같은 제품이 제공된 사실이 확인됐다.
질병관리청은 13일, 빵 섭취로 인한 살모넬라 감염증 집단 발생 사례가 총 4건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유증상자는 청주 120명, 진천 35명, 세종 18명, 부안 35명으로 집계됐다.
이번 식중독은 지난달 15일 충북 청주와 진천의 급식소에서 시작됐다. 환자와 음식에서 동일한 유전형의 살모넬라균이 검출됐다. 이후 세종과 부안 급식소에서도 같은 제품이 제공된 사실이 확인됐다.
문제의 제품은 ‘고칼슘 딸기크림 롤케이크’와 ‘고칼슘 우리밀 초코바나나빵’으로, 식품제조업체 마더구스가 만들고, 풀무원 계열의 푸드머스가 유통했다. 해당 제품은 각각 10월 12일, 9월 21일까지 소비기한이 설정돼 있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 5일 이들 제품에 대해 판매 중단 및 회수 조치를 내렸다. 푸드머스 측은 전국 급식소에 해당 제품 2만7000개를 납품했으며, 의심 증상이 발생한 즉시 납품을 전면 중단하고 자진 회수 후 전량 폐기했다고 밝혔다.
질병청은 해당 제품이 납품된 시설 전반을 대상으로 추가 유증상자 여부를 모니터링 중이다. 방역 당국은 해당 제품 섭취 후 설사, 구토 등의 증상이 있으면 즉시 진료를 받아야 하며, 동일 기관에서 2명 이상 유증상자가 발생하면 보건소에 신고해달라고 당부했다.
질병청은 최근 기온 상승으로 살모넬라균 감염증 발생이 늘고 있다며, 달걀·가금류 등은 중심온도 75도 이상에서 1분 이상 익히고, 손 씻기 등 위생 수칙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 Copyrights ⓒ TV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뉴스제보 : 이메일(tvchosun@chosun.com), 카카오톡(tv조선제보), 전화(1661-0190)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