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헤럴드경제 언론사 이미지

암생존자 심근경색ㆍ뇌졸중 발병, 코로나19 전후 달라져…서울성모ㆍ서울대병원 연구팀 발표

헤럴드경제 김상수
원문보기

암생존자 심근경색ㆍ뇌졸중 발병, 코로나19 전후 달라져…서울성모ㆍ서울대병원 연구팀 발표

서울흐림 / 22.5 °
서울성모병원 가정의학과 신현영 교수(왼쪽부터), 서울대학교 의생명과학과 이혁종 연구원,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박상민 교수 [서울성모병원 제공]

서울성모병원 가정의학과 신현영 교수(왼쪽부터), 서울대학교 의생명과학과 이혁종 연구원,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박상민 교수 [서울성모병원 제공]



[헤럴드경제 = 김상수 기자] 국내 초미세먼지 노출과 암 생존자의 심혈관질환 발생 연관성을 코로나 팬데믹 시기 전후로 분석한 첫 연구 결과가 국제학술지에 발표됐다.

서울성모병원·서울대병원 합동 연구팀(제1저자 서울성모병원 가정의학과 신현영 교수ㆍ서울대학교 의생명과학과 이혁종 연구원, 교신저자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박상민 교수)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를 기반으로 3년 이상 생존한 암환자 3만9581명을 분석했다.

연구팀은 2009년부터 2018년까지 암을 진단받고 최소 3년 이상 생존한 사람 중 2015년 이후 심혈관질환(심근경색 및 뇌졸중)을 새롭게 진단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삼았다.

분석 결과, 코로나19 거리두기 이전엔 초미세먼지 (PM 2.5) 노출이 심혈관질환 발생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평균 농도가 10μg/m³ 증가할 때마다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3%가량 상승했다.

특히 초미세먼지 최고 노출군의 경우,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약 9%까지 증가했다.

2020년 3월 22일부터 코로나19 거리두기 후에는 이러한 연관성이 사라지면서 초미세먼지로 인한 심혈관질환 발생 간의 관련성은 약화됐다. 초미세먼지 노출군에서의 발생 위험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노출 효과를 무시해도 될 수준까지 감소했다.


이는 거리두기에 따른 마스크 착용, 재택근무, 외출 자제 등으로 실제 대기오염 노출량이 줄어든 게 주원인으로 분석된다. 공장 가동률 감소, 교통량 감소 등으로 인해 대기 중 초미세먼지 농도 자체가 낮아진 것도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

기존에도 초미세먼지는 세계보건기구(WHO)가 지정한 1군 발암물질로 분류되어 있었으나, 암 생존자에서의 단기 노출 위험을 정량적으로 밝힌 연구는 이번이 처음이다. 특히 감염병 유행 시기와 같은 사회적 환경 변화가 암 생존자처럼 면역 취약계층의 외부 유해물질 노출을 줄이고 건강 영향을 완화할 수 있다는 걸 시사한다.

이 연구는 환경보건 분야의 국제학술지(Atmospheric Pollution Research)에 게재됐다.


박상민 교수는 “암 생존자는 외부 환경 변화에 민감한 특성을 지니고 있어, 초미세먼지와 같은 환경요인에 대한 일상적 노출 관리가 중요하다”며 미세먼지가 심한 날의 외출 자제, 마스크 착용 등 일상에서의 실천이 심혈관계 질환 예방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신현영 교수는 “미세먼지를 흡입하면 장내 미생물군 변화, 폐 염증, 전신 염증 반응 증가되고, 이는 부정맥, 혈관내피기능장애(Endothelial Dysfunction)와 같은 심혈관질환 발생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암 생존자의 건강관리는 일상생활 관리 및 환경 요소에 의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주치의과 같은 통합적 건강관리 체계를 조언해 줄 수 있는 암건강 클리닉을 이용하면 도움이 된다”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