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한국일보 언론사 이미지

[사설] 김정은에게 보내는 트럼프 친서, 서울 거쳐 평양 가야

한국일보
원문보기

[사설] 김정은에게 보내는 트럼프 친서, 서울 거쳐 평양 가야

속보
김건희특검 "베트남 출장 조현상 HS효성 부회장 18일 소환"


2018년 6월 싱가포르 센토사섬에서 북미 정상회담을 하기 위해 만난 김정은(왼쪽)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악수하고 있다. 싱가포르=EPA 연합뉴스

2018년 6월 싱가포르 센토사섬에서 북미 정상회담을 하기 위해 만난 김정은(왼쪽)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악수하고 있다. 싱가포르=EPA 연합뉴스


캐럴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서신 교환에 여전히 열려있다”고 밝혔다. 북한이 트럼프 친서 수령을 거부했다는 보도가 나오자 이를 부인하지 않는 방식으로 시인한 셈이다. 이어 “대통령은 첫 임기 때 싱가포르에서 이뤄진 진전을 보길 원할 것”이라며 2018년 6월 1차 북미 정상회담의 성과를 이어가고 싶다는 뜻도 내비쳤다. 북미 협상이 다시 급물살을 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두 정상이 직접 소통하는 건 긴장 완화 측면에서 긍정적이다. 싱가포르에선 새로운 북미 관계 수립이란 합의도 있었다. 물론 김 위원장이 트럼프 제안에 응할지는 미지수다. 북러 밀착으로 북한은 아쉬울 게 없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이 협상에 성공하기 위해선 무엇보다 동맹 한국과 긴밀하게 협의하는 게 순서다. 한국은 미국보다 북한에 대해 많이 안다. 더구나 북미 대화가 동맹국을 오히려 불안하게 해선 안 된다. 일각에선 ‘미국 우선주의’의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을 핵 보유국으로 인정하고 사실상 핵동결 협상을 할 것이라 우려한다. 미 국방부는 중국 견제를 위해 주한미군의 한반도 밖 배치까지 검토하고 있다. 백악관이 대통령 당선 축하 인사도 없이 중국의 개입부터 우려한 것도 심상찮다. 미국은 평양과 대화하기 전에 먼저 서울과 충분히 상의해 동맹부터 굳건히 해야 성과도 낼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새 정부도 북미 대화 과정에서 우리 입장을 적극 개진할 외교적 절차를 구축해야 한다. 한반도 문제가 우리 없이 논의되는 일은 있을 수 없다.

마침 남북 관계 개선 조짐도 보인다. 이 대통령 지시에 따른 우리 군의 대북 확성기 방송 중지에 북한도 대남 소음 방송을 멈춰 호응했다. 소모적인 신경전이 일단락된 만큼 상호 신뢰 회복의 계기로 삼아 남북 대화 분위기로 이어가야 한다. 다만 상호주의 원칙은 지켜져야 한다. 일방적 양보와 퍼주기로 결국 핵 무력을 고도화할 시간만 줬던 과오가 반복돼선 안 된다. 남북 관계 개선으로 북미 대화까지 추동하고 한반도 평화를 실현해야 할 과제가 새 정부 앞에 놓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