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아주경제 언론사 이미지

임주혁 한화證 본부장 "고객 위한 한걸음…주식담보대출 갈아타기 서비스 출시"

아주경제 신동근 기자
원문보기

임주혁 한화證 본부장 "고객 위한 한걸음…주식담보대출 갈아타기 서비스 출시"

속보
中상무부, 희토류 및 관련 기술 수출통제 조치 발표
증권사 금리경쟁 유도…"고객 편익 개선될 것"
"서비스 고도화와 리스크 줄이기는 과제"
[사진=신동근 기자]

[사진=신동근 기자]



한화투자증권이 칼을 뽑았다. 금융투자업계 최초로 ‘주식담보대출 갈아타기’ 서비스를 최근 내놨다. 이 서비스는 기존 증권사에서 대출받은 자금을 상환하지 않고도 다른 증권사로 갈아탈 수 있는 게 핵심이다. 한화투자증권은 더 유리한 금리 조건을 제시해 타사 고객을 적극적으로 끌어들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임주혁 한화투자증권 WM본부장은 지난 10일 아주경제와 만나 주식담보대출 갈아타기 서비스 출시 배경과 향후 전략을 밝혔다. 임 본부장은 “과거 프라이빗뱅커(PB)로 일하던 시절 많은 고객이 금리가 더 낮은 증권사로 옮기고 싶어도 주식을 먼저 매도하거나 대출을 갚아야 하는 현실적 장벽에 막히곤 하던 모습을 많이 봤다”며 “이번 서비스는 그런 고객의 어려움을 해결하려는 고민에서 출시했다”고 설명했다.

이 서비스의 핵심은 ‘담보로 잡힌 주식을 매도하지 않고도 금리가 더 유리한 증권사로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이다. 지금은 더 낮은 금리를 제공하는 증권사가 있는데도 대출금을 상환하지 않으면 갈아탈 수 없다. 하지만 이 서비스를 이용하면 은행 대출처럼 더 좋은 조건으로 갈아타는 게 가능해진다. 증권사 간 금리 경쟁을 유도해 고객 편익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이동하기 쉬워지면 타사로 이동하는 것을 막기 위해 기존 증권사 또한 금리를 낮추게 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임 본부장은 “은행권은 이미 신용·담보대출 갈아타기 등 서비스가 활성화돼 있지만 증권업계에서는 전례가 없던 구조”라며 “금융당국 역시 소비자 편익 제고 측면에서 혁신성을 인정받아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됐다”고 말했다.

이 서비스를 위해 한화투자증권은 마이데이터 기반 인프라를 활용했다. 고객이 마이데이터 제공에 동의하면 한화투자증권은 고객의 기존 주식 보유 내역 등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한화투자증권에서 상환 자금을 먼저 제공하고 이후 고객의 주식을 타 증권사에서 한화투자증권으로 이전하는 구조를 완성했다.

임 본부장은 "향후 이 서비스를 고도화하고 리스크를 줄이는 데 주력할 것"이라며 “철저한 데이터 분석을 통한 리스크 관리 체계를 구축 중”이라고 말했다.


한화투자증권은 전사적인 WM(자산관리) 전략도 강화하고 있다. 대면 채널에서는 고액자산가에게 자산관리 솔루션을 제공하고, MTS(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도 AI를 활용한 토픽 검색 및 뉴스 요약과 쉬운 연금 서비스 등을 추가하고 있다.
아주경제=신동근 기자 sdk6425@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