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네이버가 내년 중 출시 예정인 ‘에이아이(AI) 탭\'(가칭) 예시. 인공지능이 대화 맥락을 보다 깊게 이해하고, 추론 과정을 통해 예약·구매·결제 등 최종 과업까지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네이버 제공 |
네이버가 챗지피티(Chat GPT)·퍼플렉시티 등 생성형 인공지능 서비스 확산에 대응하기 위해 내년 중 ‘통합 에이전트(비서)’를 선보인다. 인공지능이 사용자의 검색 맥락을 파악해 예약, 구매, 결제까지 네이버에서 한 번에 이뤄지도록 지원한다는 구상이다.
네이버는 12일 서울 서초구 네이버 디투에스에프(D2SF) 강남에서 연 간담회에서 통합검색 내 별도 페이지 형태로 노출되는 ‘에이아이(AI) 탭’(가칭)을 내년에 선보일 예정이라고 밝혔다.
에이아이 탭은 인공지능이 대화 맥락을 보다 깊게 이해하고, 추론 과정을 통해 예약·구매·결제 등 최종 과업까지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예를 들어, 에이아이 탭에서 ‘5살 아이와 제주도 갈 만한 곳 추천해줘’라고 문장을 입력하면 인공지능이 적용된 ‘플레이스 에이전트’를 통해 질문 맥락을 고려한 다양한 장소들이 추천된다. 이용자가 추천된 장소들 중 몇 곳을 여행 코스로 짜줄 것을 요청할 경우 네이버 지도에서 최적의 동선을 안내받을 수 있다. 가까운 거리에 있는 식당, 숙소 등도 네이버 예약으로 연결해 준다.
최근 챗지피티·퍼플렉시티 등 생성형 인공지능 서비스의 확산으로 기존 검색 엔진의 트래픽이 감소할 것이란 우려가 나오는 것에 대해 네이버는 사용자들의 요구를 반영한 ‘유연한 변화’를 예고했다. 김상범 네이버 검색 플랫폼 리더는 “(챗지피티 등의 영향으로) 사용자들이 점점 다양한 표현을 써서 편리하게 검색하는 트렌드가 나타나고 있다”며 “생성형 인공지능 시대가 발전한다고 해서 기존 검색이 갑자기 없어지거나 빠른 속도로 사라지진 않을 것이다. 다만 트렌드 속도에 맞춰 서비스를 바꿔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네이버는 지난 3월 말 도입해 현재 약 3% 수준인 ‘에이아이 브리핑’ 대상 검색어를 올해 하반기까지 전체 검색어의 20% 수준으로 확대하고, 금융·헬스케어 등 다양한 주제에 특화한 에이아이 브리핑을 순차 도입할 예정이라고 했다.
선담은 기자 sun@hani.co.kr
▶▶[한겨레 후원하기] 시민과 함께 민주주의를!
▶▶민주주의, 필사적으로 지키는 방법 [책 보러가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