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1월·12월 글로벌 장애 이어 3번째
"현재 음성모드 여전히 오류율 높아 수정 노력 중"
![]() |
오픈AI 상태페이지 갈무리 |
(서울=뉴스1) 김민석 기자 = 오픈AI의 인공지능(AI) 챗봇 '챗GPT', AI 영상도구 '소라', 음성 모드 등이 대규모 글로벌 서비스 장애를 겪었다.
챗GPT 글로벌 장애는 7시간 이상 지속된 것으로 나타났다. 음성 모드 오류율 증가 장애는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11일 IT 업계와 오픈AI 상태페이지에 따르면 이번 서비스 장애는 챗GPT·소라·API 서비스 전반에 영향을 미쳤다.
장애는 미국 동부 시간 기준 10일 오전 2시(서부 9일 오후 11시)쯤부터 발생했다. 한국시간으로 10일 오후 7시쯤부터 시작돼 새벽까지 지속됐다.
챗GPT는 "동시 요청이 너무 많다"(Too many concurrent requests)라거나 '흠… 뭔가 잘못된 것 같습니다"라는 오류 메시지를 띄웠다.
![]() |
오픈AI 상태페이지 갈무리 |
오픈AI는 미 동부시간 기준 오전 9시 상태페이지를 통해 "여러 서비스에서 오류율과 응답 지연이 증가하고 있다. 엔지니어들이 근본 원인을 파악했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작업하고 있다"며 문제를 인정했다.
현재 기준 오픈AI는 "거의 모든 챗GPT 구성요소는 모든 사용자에게 제대로 작동한다"며 "음성 모드에서는 여전히 오류율이 높아지고 있어 이 구성 요소를 완전히 수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챗GPT는 이달 7일 유료 이용자 대상으로 실시간 음성 대화 기능인 '고급 음성 모드'(Advanced Voice Mode)를 업데이트했다. 고급 음성 모드는 더 다양한 감정과 자연스러운 억양을 구사할 수 있는 기능이다.
![]() |
오픈AI 서비스 상태 페이지 갈무리. 문제의 근본 원인을 파악해 복구 작업 중이라고 밝혔다. |
음성모드 업데이트가 서비스 장애 원인인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서버 등 인프라 문제일 가능성도 나온다.
이번 장애는 챗GPT의 3번째 주요 서비스 중단 사태다. 챗GPT는 지난해 11월·12월에도 서비스 장애를 일으킨 바 있다.
지난해 12월엔 애플이 아이폰 등 자사 기기에서 챗GPT를 탑재한 운영체제(OS)를 배포하면서 아이폰 등 이용자들이 급증해 접속 장애를 일으킨 것으로 추정됐다.
ideaed@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용어설명> ■ API API는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로 하나의 소프트웨어 컴포넌트가 다른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인터페이스다. 즉, 소프트웨어끼리 서로 정보를 주고받고 기능을 사용하게 해주는 중간다리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