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동아일보 언론사 이미지

캠핑장 물로 코 세척한 美여성, ‘뇌 먹는 아메바’ 감염 사망

동아일보 박해식 기자
원문보기

캠핑장 물로 코 세척한 美여성, ‘뇌 먹는 아메바’ 감염 사망

속보
국방부, '채상병 사건 조사기록 회수' 관여한 국방부 검찰단장 직무정지
현미경으로 촬영한 뇌먹는 아메바. 인도 WION 방송 화면 캡처.

현미경으로 촬영한 뇌먹는 아메바. 인도 WION 방송 화면 캡처.


미국 텍사스의 한 캠핑장에서 수돗물로 코(부비동) 세척을 한 여성이 ‘뇌 먹는 아메바’로 더 잘 알려진 ‘파울러자유아메바’(Naegleria fowleri)에 감염 돼 사망했다고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발표했다.

USA 투데이는 CDC 보고서를 인용해 71세 여성이 끓이지 않은 수돗물을 코 세척기에 담아 사용한 지 며칠 만에 발열, 두통, 의식 변화 등의 증상을 보이다 갑자기 사망했다고 4일(현지시각) 보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사망자는 뇌 먹는 아메바가 원인인 원발성 아메바성 뇌수막염 감염이 의심돼 치료를 받았다. 하지만 의료진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발작이 일어나 증상이 시작된 지 8일 만에 사망했다.

CDC는 숨진 여성의 뇌척수액에서 파울러자유아메바를 찾아냈다고 보고서에 썼다. 뇌척수액은 무색의 투명 액체로 뇌와 척수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텍사스 현지 언론 보도에 따르면 해당 여성은 캠핑장 수돗물을 자신의 캠핑카 물 탱크에 담아 사용했다. CDC는 피해 여성이 사용한 수돗물의 수원을 검사했으나 뇌 먹는 아메바를 발견하지 못 했다.

파울러자유아메바, 일명 뇌 먹는 아메바는 담수호, 강, 온천 등 따뜻한 민물에 서식하는 단세포 생물이다.

뇌 먹는 아메바 감염 경로,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뇌 먹는 아메바 감염 경로,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호수나 강, 온천에서 수영이나 레저 활동을 할 때 드물게 파울러자유아메바가 코로 들어가 후각신경을 따라 뇌로 이동한다. 비염 치료에 많이 사용하는 코 세척기에 오염된 물을 넣어 사용하다 감염될 수도 있다. 사람 간 전파는 안 된다.

감염 후 잠복기는 짧게는 2∼3일, 길게는 7∼15일로, 초기에는 두통, 정신 혼미, 후각 및 상기도 증상이 나타났다가 점차 심한 두통과 발열, 구토와 머리를 앞으로 굽힐 수 없는 경부 경직이 이어지고 혼수상태를 거쳐 사망에 이른다. 초기 증상 발현 후 일주일 이내 사망할 확률이 97%에 이른다.

CDC는 안전을 위해 △담수에 뛰어들거나 다이빙할 때는 코를 잡거나 코 클립을 착용하고, △온천에서는 항상 머리를 물 밖으로 내밀고, △아메바는 물이 얕은 곳에 서식할 가능성이 더 높으므로 바닥을 파지 말고, △코를 세척할 때는 증류수나 끓인 수돗물을 사용할 것으로 권고했다.


지국 온난화 영향으로 한국도 완벽한 안전지대는 아니다. 지난 2022년 뇌 먹는 아메바에 감염된 한국인 첫 사망자가 나온 사례가 있기 때문이다. 다만 국내가 아닌 태국에서 감염됐다. 이 남성은 귀국 당일 응급실로 이송돼 10일 후에 사망했다.

박해식 기자 pistols@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