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머니투데이 언론사 이미지

트럼프 '원전 재건' 시동…"신규건설 18개월 내 허가, 발전용량 4배로"

머니투데이 뉴욕=심재현특파원
원문보기

트럼프 '원전 재건' 시동…"신규건설 18개월 내 허가, 발전용량 4배로"

속보
이스라엘군 "이란 내 레이더와 지대공 미사일 발사대 수십 대 파괴"
/로이터=뉴스1

/로이터=뉴스1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원자력 발전 르네상스'에 본격적인 시동을 걸었다. 미국 내 원전 산업의 대표적인 걸림돌로 지적됐던 신규 원전 허가 절차를 대폭 단축하는 등 규제 완화에 착수했다. 전 세계적인 인공지능(AI) 경쟁으로 전력 수요가 급증하는 상황에서 원전 확대를 통해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꾀하겠다는 전략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원전 확대와 관련한 행정명령 4건에 서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행정명령 서명식에서 "원자력 산업에서 미국을 진짜 파워(국가)로 다시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행정명령에는 원자력 발전에 대한 규제완화와 원자력 발전소 건설 계획 등이 담겼다. 조 바이든 정부가 2050년까지 현재 수준의 3배로 확대하기로 한 원전 용량 목표를 4배로 높인 게 핵심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를 위해 2030년까지 대형 원자로를 10기 착공하기로 했다. 최근 20년 동안 미국에서 대형 원자로가 조지아주 보글 원전 3호기와 4호기 등 2기만 완공됐다는 점을 고려하면 상당히 공격적인 계획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국방시설과 AI 데이터센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용도로 군사기지 내 원자로도 최소 1기 이상 건설을 지시했다.

행정명령에는 특히 원자력규제위원회가 신규 원전 허가 결정을 18개월 안에 하도록 하는 내용도 포함돼 있다고 AP통신은 미국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보도했다.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스리마일섬 원자력 발전소 냉각탑. /로이터=뉴스1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스리마일섬 원자력 발전소 냉각탑. /로이터=뉴스1


에너지부와 국방부, 원자력규제위원회 등 연방 기관이 대규모 원자로와 소형모듈원자로(SMR) 개발, 기존 원전 업그레이드 등을 촉진할 수 있는 권한도 적시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에너지부에는 기존 발전소 출력을 늘리거나 미완공 시설을 마무리할 수 있는 자금을 지원하도록 지시했다.


미국은 세계 최대 원전 보유국으로 현재 94기의 원전을 가동 중이지만 1979년 펜실베이니아 스리마일섬 원전 사고 이후 원전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불거지면서 사실상 원전 건설을 중단하다시피한 상태다. 이 사이 중국은 공격적으로 원전을 늘리면서 글로벌 원전 시장에서 영향력을 키우고 있다. 중국이 현재 공사 중인 원자로만 30기에 달한다.

전 세계적인 원전 붐은 AI 경쟁과 밀접하게 맞닿아 있다는 분석이다. AI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가 급증하면서 미국에서도 친환경을 중시했던 바이든 정부가 원전 관련 계획을 일부 수정했다.

트럼프 정부의 '에너지 차르'인 더그 버검 내무부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은 원자력 산업에 대해 50년 이상 이어진 과도한 규제 시계를 뒤로 돌릴 것"이라고 말했다.

뉴욕=심재현 특파원 urme@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