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머니투데이 언론사 이미지

구글이 보여준 미래…삼성과 '스마트 안경' 협업

머니투데이 변휘기자
원문보기

구글이 보여준 미래…삼성과 '스마트 안경' 협업

속보
대통령실 "G7서 한미일 정상회담 열려 있어…조율 중"
구글이 삼성전자 등과 협업해 개발한 '스마트안경'을 시연하는 장면. 이란어와 힌디어를 쓰는 2명이 각자의 언어로 말하면, 스마트안경이 실시간 번역을 제공한다. /사진=구글 I/O 25 키노트 영상

구글이 삼성전자 등과 협업해 개발한 '스마트안경'을 시연하는 장면. 이란어와 힌디어를 쓰는 2명이 각자의 언어로 말하면, 스마트안경이 실시간 번역을 제공한다. /사진=구글 I/O 25 키노트 영상


구글이 삼성전자와 협력해 '스마트 안경' 시장에 10년 만에 다시 뛰어든다. AI(인공지능) 시대가 열리며 '검색 왕국' 지위가 위협받는 가운데, 구글이 새로운 기술 현황을 밝히던 중 공개된 얘기다.

구글은 20일(현지시간) 캘리포니아주 마운틴뷰에서 연례 개발자 컨퍼런스 'I./O 25'를 열어 'AI 모드' 검색 도입을 비롯한 신기술 개발 현황을 소개했다.

구글의 AI 모드 검색은 검색 시 관련 링크 목록을 제시하는 기존 방식과 달리 챗봇 스타일의 대화로 검색 요청에 답변한다. 미국 사용자를 대상으로 우선 선보인다. 검색 서비스에 최적화된 구글의 자체 AI 모델 '제미나이'를 기반으로, 길고 복잡한 질문을 다단계로 분해한 뒤 관련 정보를 통합해 답을 제공한다. 텍스트 요약, 이미지 분석, 영상 이해 등 멀티모달 기능도 갖췄다.

이와 관련 구글 모회사 알파벳의 순다르 피차이 CEO(최고경영자)는 이날 "AI 플랫폼 전환의 새로운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고 강조했다.

구글은 또 복잡한 질의에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기반으로 인용처까지 표기해 답변하는 '딥 서치', 사용자가 스마트폰 카메라로 비추는 장면을 AI가 인식해 음성·텍스트로 답변하는 '서치 라이브', 사용자의 반복 작업을 대신 처리하는 '에이전트 기능'을 AI 모드 검색에서 순차 제공할 계획이다.

이날 행사에선 안드로이드 XR(확장현실) 기반의 스마트안경이 공개된 것도 화제였다. 이는 카메라, 마이크, 스피커, 디스플레이 등을 탑재한 선글라스 형태의 제품이다. 제미나이 기반으로 이용자가 보는 장면을 설명하거나 실시간 통역, 일정 관리, 길 안내, 메시지 작성 등을 핸즈프리로 처리할 수 있도록 돕는다.


특히 구글은 새 스마트안경 개발을 위해 삼성전자, 한국 선글라스 업체 젠틀몬스터 및 워비파커와 협력한다고 밝혔다. 구글은 앞서 2013년 스마트안경 '구글 글래스'를 출시했다가 2년 후 단종해 일반 소비자 시장에서 철수한 바 있다.

변휘 기자 hynews@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